국내 중견기업 절반은 불확실한 시장 상황과 경영 실적 악화 등으로 올해 투자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중견기업 800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에 따르면 올해 중견기업의 50.4%가 투자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8.7%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투자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불확실한 시장 상황(38.2%)과 경영 실적 악화(19.6%) 등 급격한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한 우려를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투자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 49.6% 가운데 작년보다 투자 규모를 늘리겠다는 응답은 41.5%에 그쳤다. 전년 수준으로 유지하겠다는 답은 35.8%, 투자 규모를 줄일 것이라는 응답은 22.7%로 집계됐다.
올해 투자 규모를 줄이겠다고 답한 중견기업들은 이유로 내수시장 부진(40.0%), 경기 악화 우려(24.4%), 생산 비용 증가(10.0%), 고금리·자금조달 애로(7.8%) 등을 꼽았다.
투자 확대를 계획한 중견기업들은 주력사업 확장(35.7%), 신사업 진출 강화(26.7%), 해외 시장 진출 확대(17.0%), 노후 설비 개선·교체(11.5%) 등의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투자 계획이 있다고 답한 기업 가운데 해외 투자 계획이 있다는 기업은 19.6%에 그쳤다. 국내 설비 투자 계획이 있다는 답은 70.0%, 국내 연구개발(R&D) 투자 계획이 있다는 답은 37.0%로 조사됐다.
중견기업의 투자 확대를 위해선 세제 지원 확대(38.0%), 물가 안정 및 내수 활성화(21.6%), 금리 인하(20.1%), 정책금융 강화(8.5%), 노동 등 경영 환경 개선(8.5%)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중견기업의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정책금융의 문턱을 과감하게 낮추고 노동, 환경, 세제 등 법·제도 환경을 시급히 개선해 중견기업의 장기 투자 여력을 실효적으로 확충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탄핵 반대' 대전 집회, 30만명 예상…매일신문 전한길 강사 연설 등 현장 생중계
전한길 '尹 암살설' 주장…"헌재, 尹 파면 시 가루 돼 사라질 것"
윤 대통령 법률대리인 "공수처, 위법 수사 드러나"…서울중앙지법 영장 기각 은폐 의혹 제기 [영상]
국민의힘 49.0%·민주당 37.2%…"이재명 피선거권 상실형" 45.5%
신평 "한동훈, 키워준 尹 배신…탄핵소추·구속 방아쇠 당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