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중기의 필름통] 영화 '호프'

영화 '호프'의 한 장면
영화 '호프'의 한 장면

'희망'은 마지막까지도 놓지 않는 불쏘시개다.

온갖 불행과 불운이 몰려와도 '내일은 괜찮을거야!'라며 긍정한다. 설령 이것이 끝이고, 내일이 없다하더라도 '나는 진정 행복하였네'라며 자신을 추스르는 것이 사람이다.

시한부 삶을 선고받은 이들에게도 마찬가지다. 모든 노력이 물거품이 되는 어느 순간에도 마지막에는 하늘에서 천사 가브리엘이 내려와 자신을 안아줄 것이라 기대한다.

17일 개봉한 노르웨이 영화 '호프'(감독 마리아 쇠달)는 그런 주인공을 통해 희망을 얘기하는 영화다.

공연 무대감독 안야(안드레아 베인 호픽)는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열린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친다. 평단의 호평도 받았다. 크리스마스이브 전날, 병원에서 MRI를 찍고 결과를 기다린다. 결과는 최악이다. 폐암이 뇌로 전이된 것이다. 의사는 "치료가 불가능하다"며 시한부 선고를 내린다.

가족들에게는 알리지 않기로 한다. 마지막까지 아이들에게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싶다는 생각에서다. 위경련과 메스꺼움이 몰려와도 가족의 행복한 크리스마스를 준비한다.

'호프'는 시한부 판정을 받은 후 10일간 안야의 심리와 상황을 날짜순으로 그려낸 영화다. 그 열흘에는 크리스마스가 있고, 연말 불꽃놀이가 있고, 또 밝아오는 새해가 있다. 한 해의 가장 행복하고 희망에 찬 기간에 안야는 절망의 시간을 보내는 것이다.

그녀에게 다행인 것은 사랑하는 토마스(스텔란 스카스가드)가 있다는 것이다. 둘은 사실혼 관계로 몇 번의 결혼식을 준비하다 실패한 적이 있다. 자식은 그의 아이 셋에 그녀의 아이 셋, 모두 여섯 명. 아직 철없는 아이들이다.

영화 '호프'의 한 장면
영화 '호프'의 한 장면

퀴블러 로스의 '죽음의 5단계'가 있다. 처음에는 '부정'하고 '분노'하다, 조금이라도 연장하기 위해 '타협'하며, 그것이 부질없음을 깨닫고는 '우울'하다, 결국 '수용'하는 단계다.

안야 또한 죽음을 받아들일 수가 없다. 해야 할 일이, 아니, 못한 일이 너무 많은 것이다. 그녀 없는 아이들이 눈에 밟힌다. 미친 듯 집안 청소를 하다가, 화가 치밀어 애꿎은 토마스에게 퍼붓기도 한다. 수술을 하면 괜찮을지 수소문도 해 본다.

'이 영화는 내 기억 속의 내 이야기다'라는 자막으로 시작되는 영화 '호프'는 안야의 일상을 지극히 담담하게 그려내 더욱 현실적으로 다가오는 영화다. 그 어떤 판타지나 눈물샘을 자극하는 인공미 없이 열흘간의 일상과 그녀의 심리적 변화에만 초점을 맞춘다. 마치 안야가 쓴 10일간의 일기장과 같은 것이다.

크리스마스 파티를 마친 후 안야가 토마스와 섹스를 하다 화가 나서 오열하는 장면은 삶에 대한 애착과 절망이 뒤섞여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내가 죽은 후 다른 여자 만나도 돼"라고 토마스에게 얘기하지만 그녀의 속뜻은 아니다. 그래서 다시 정정한다. "다른 여자 만나지 마!"

죽음을 앞둔 초인의 의지는 소설 속에나 있는 것이다. 토마스에게 그동안 바람피운 적이 있는지 물어보는 장면도 그렇다.

(토마스) "사실, 한눈판 적이 있어. 그러나 큰 의미는 없는 것이야."

(안야) "나는 남에게 키스한 것은 아이들에게 한 것이 전부야. 그렇지만 마음을 빼앗긴 적은 있어."

죽음을 앞두고 그동안 하지 못했던 이야기도 한다. "아이들이 6명이지만, 내 아이를 더 사랑했던 것 같아." 이런 이야기들은 평소에는 하기 어려운 이야기들이다.

영화 '호프'의 한 장면
영화 '호프'의 한 장면

안야에게 닥친 것은 절망뿐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영화는 안야의 기복이 심한 심리와 감정 속에서 서서히 희망을 얘기한다. 안야의 절망에서 희망의 실타래를 건져 올려 관객에게 건네주는 것이다.

거대한 로맨스와 부와 명예, 깜짝 놀랄 이벤트만이 희망의 요건이 아니라는 것이다. '희망찬 새해'도 박제된 표현일 뿐이다. 가족과 함께 하는 크리스마스도 마음의 울림이 없으면 연례행사일 뿐이다. 안야는 그동안 하지 못했던 일을 시작한다.

그리고 후회와 슬픔을 던져버린다. 영화 전편에 흐르는 비발디의 오페라 '주스티노'의 아리아처럼 말이다. '주스티노'는 사랑과 전쟁, 에로티시즘과 폭력, 유령과 모험이 뒤섞인 오페라다. 그렇지만 그 속에 흐르는 '나의 사랑하는 님 만나리'는 숨이 멎을 정도로 아름다운 아리아다.

영화는 이 아리아를 통해 세상의 모든 혼돈과 절망, 슬픔과 고통을 녹여버린다. 안야를 통해 '오늘이 세상의 마지막 날인 것처럼 살라'고 관객에게 얘기한다. 그것이 희망이라는 것이다.

영화 '호프'의 한 장면
영화 '호프'의 한 장면

안야와 토마스 역을 맡은 두 배우는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대표 배우다. 노르웨이의 안드레아 베인 호픽은 절망에 빠진 안야를 치열하게 연기하고, 스웨덴의 명배우 스텔란 스카스가드는 안야 곁을 지키는 토마스를 섬세하며 안정적으로 연기한다.

안드레아 베인 호픽은 "절망 속에서 희망을 꿈꾸는 이야기"라면서 "한국관객들을 극장에서 만나기를 고대한다"고 얘기했다.

가혹하고 혹독했던 한 해가 저무는 지금, 잔잔하게 우리의 일상을 되돌아보고, 우리를 위로하는 영화다. 125분. 12세 이상 관람가.

김중기 문화공간 필름통 대표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