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도시개발 기형화 우려

교통부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이 경부고속철도 대구통과구간의 건설방식을(지하}에서 {지상}으로 변경, 대구장기도시개발에 엄청난 악영향을 미치게 될것으로 지적되고 있다.건설공단은 지난해 대구구간 칠곡1지구택지개발지구-수성구고모동간 18.5km를 지하구조로 결정했으나 최근 계획을 번복, 대구권구간 35.2km의 노선변경과 함께 지상화 건설로 방침을 바꿨다.

이같은 건설공단계획에 대해 지역관계자들은 경부고속철도의 기존 경부선 병행건설은 대구남북지역의 영구 구획과 지역숙원사업인 경부선 이설을 불가능케 하는 파행적 구상이라 주장하고 있다.

도시계획 실무자들은 대구도심을 지나는 경부선 옆에 고속철도를 건설하고추후 경부선복복선까지 깔게되면 철도부지 확대에 따른 대구남북 분할현상이더욱 심화, 지역균형발전을 가로막게 될것으로 보고있다.

더욱이 고속철도의 소음수준이 방음벽을 설치하더라도 80데시벨(교통최혼잡지 수준)에 달해, 철도변 지역의 주거환경 침해가 더욱 악화되고 도시미관까지 망쳐놓게 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도시계획 전문가들은 고속철도 건설공단이 사업비 절감을 앞세워 대구.대전만 지상화 한다는 것은 지역차별(서울.부산은 지하)이라 말하고 지상화 계획을 당초 계획으로 바꾸거나 대구개발 장기구상에 맞춘 노선설정이 있어야 할것이라 주장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고속철도 노선을 경부고속도로와 병행시키고 동대구역이 아닌 고속철도 별도역을 설치, 대구시역 확대에 따른 장기적인 대비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