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대학입시제도의 두가지 특색은 평가방법의 다양화와 지원기회의 확대이다.고교교육의 정상화를 위해 고교내신성적을 필수적으로 반영하고 수학내력시험과 대학별 본고사를 선택적으로 추가했다. 지원기회를 확대하기 위해서는일정기간안에 대학이 본고사와 면접일을 스스로 정하도록 맡겨 수험생이 여러번 응시기회를 가질수 있게 한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이제도가 대학의 이기주의 때문에 퇴색되고 있다.필수인 고교내신성적 40%이상 반영외에 수내시험.대학별 본고사실시와 과목별 가산점채택을 대학에 맡겼는데 전국1백30여 대학가운데 9개대학을 두고는대부분 대학이 본고사를 포기했다. 평가방법의 다양화를 기한다는 원래취지와 달리 대학의 부담을 줄이려는 이기주의의 발로라 않을수 없다. 선택이 대학에 일임되었으므로 대학의 판단에 따라 선택할수도 않을수도 물론 있는 것이지만 수험생에게는 평가방법이 줄어든 것이다.
또하나, 지원기회가 종전보다 확대되지 않을 전망이다. 본고사를 채택한 서울대가 그날짜를 내년1월6.7일로 확정하자, 전기에 입시를 치르는 대부분 대학들이 그날짜와 겹치도록 잡아 사실상 복수지원을 막게 되었다는 것이다. 대학으로서는 같은 날짜를 택함으로써 자기대학을 지원한 수험생을 어렵잖게 뽑을수있고 심리적부담도 덜수 있는 것이지만 수험생으로서는 지원기회를 잃는것이다. 대학의 이기주의가 수험생의 응시기회를 앗아가는 셈이다.새대학입시제도의 장점들이 이렇게 퇴색되면 새제도를 도입한 의의가 없어진다. 수험생으로서는 종전제도와 크게 달라진것이 없고 시험회수가 수내시험에다 대학별본고사로 더 늘어났을 뿐이다. 대학이 새제도의 범위안에서 택할수있는 최선의 방법이라면 할말은 없다. 그러나 대학의 이기주의가 수험생의 응시기회를 박탈해도 좋은 것인지 생각해 볼 문제다. 새제도의 근본취지와 어긋나는 것이다. 가급적 평가방법을 다양화하고 지원기회를 많이 주자는 취지가모두 무색해졌다. 대학들이 이를 무시한 것이다.
대학으로서 고충은 있을것이다. 이중 합격생으로 인해 우수학생유치가 어렵고 연쇄결원등의 문제를 우려한 불가피한 담합이라고 할것이다. 그런 고충이있다하더라도 새제도의 취지를 살리는 쪽으로 대학간에 의견을 나누고 수험생의 응시기회를 박탈하지 않는 방법을 찾아야 하는것이다.아직 9월말께 확정될 예정이니 시일은 남아있다. 대학들은 대학의 원만한 수험생선발과 함께 수험생의 응시기회를 박탈하지 않는선에서, 우리교육의 발전을 멀리 넓게보는 위치에서 날짜를 다시 검토하기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탄핵 반대, 대통령을 지키자"…거리 정치 나선 2030세대 눈길
젊은 보수들, 왜 광장으로 나섰나…전문가 분석은?
민주, '尹 40%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에 "고발 추진"
윤 대통령 지지율 40%에 "자유민주주의자의 염원" JK 김동욱 발언
"尹 영장재집행 막자" 與 의원들 새벽부터 관저 앞 집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