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연거푸터진 대형사고 매사안일했던{관.민 합작품}

올들어 연거푸 터진 대형인명사고들을 취재하면서 그때마다 느낀 한가지가있다.모두 천재지변이 아닌 인재(인재)이고 놀라우리만치 그 유형이 비슷하다는것이다.

참혹한 현장, 울부짖는 유족들, 허둥대는 당국 같은 눈에 보이는 모습이 우선 똑같고 사고를 낸 회사의 인명경시적 경영태도, 이러한 탈.불법을 전혀 몰랐거나 알고도 묵인해온 관청의 직무유기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까지 전율스러울만큼 닮아있다.

다만 사고현장.대상이 땅이냐 공중이냐 바다냐 혹은 기차냐 비행기냐 배냐가다를 뿐이다.

이 사실을 느낄 때마다 "우리는 어찌할 수 없는 민족인가"하는 서글픔이 일어나기도 했지만 "아직도 이럴 수가"하는 분노가 더욱 거셌던게 사실이다.그러나 무쇠덩어리 기차가 종이조각처럼 구겨진 구포역에서, 비행기동체가산산조각난 마천마을에서, 2백여명을 삼키고도 말없는 위도앞바다에서 당국에대한 분노와 함께 자성(자생)의 소리도 작으나마 들려옴을 무시할 수는 없었다.

과연 모든 책임이 사고를 예방하지못한 행정당국에만 있는가?78명의 사망자를 낸 구포역사고는 시공회사가 지질을 무시하고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을 위해 폭파공법을 강행해 일어난 사고였다.

66명이 희생된 아시아나여객기 추락사고는 공항을 엉터리로 만든 당국이 배경이지만 직접적으로는 이윤을 위해 악천후에도 무리하게 비행기를 몰라고 시킨 회사와 그에 따른 승무원 때문이다.

이번 위도 여객선침몰사고도 마찬가지다. 하루 2회 증편요구를 무시한 항만청이 책임의 태반을 져야하지만 역시 장사를 위해 정원을 넘긴 승객을 태우고파도치는 바다로 배를 운항해간 회사와 선장이하 선원들도 책임을 면할 수없는 것이다.

사고때마다 주민들의 헌신적인 구조활동이 미담으로 전해지고, {문민시대}여서 관(관)은 뒷전이고 민(민)이 앞장이라는 비아냥도 있지만 사고는 관민합작임이 틀림없다.

물론 당국을 비호하거나 두둔하려는 마음은 추호도 없다.

사고마다 당국의 엉성하기 짝이없는 행정이 원인임은 이미 밝혀진 사실이고면책받을 수 없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이것으로 그만인가하는 생각도 든다.

우리는 늘 민주국가를 얘기하면서도 감시.감독이 불충분해서 사고가 난다고책임을 당국에 미룬다.

스스로 통제와 감시를 불러들여 관(관)의 종(종)이 되자는 것은 아닌데도 그렇다. 꼭히 공사장 인부나 십장, 여객기나 배의 기장 갑판장이 아니더라도 우리모두 대형 사고를 낼 가능성을 간과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보자.당국에 돌을 던져야할 때는 맵짜게 던져야하지만 그때가 스스로도 반성해야할 때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