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행정협조} 실종

대구시와 경북도가 상수원오염문제, 지하철노선, 도로 신설, 쓰레기장처리,행정구역 조정등 산적한 시도간 연계된 현안사업 해결을 외면, 지역개발을늦추고 있어 중앙예속시대의 구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시도는 지역개발을 위한 양자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강조하면서도 일부 지역민의 반발과 행정이기주의에 집착, 주요 현안을 전혀 손대지 못하고 있으며협의 부진으로 지역개발 역행적인 시책을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시도 행정구역 조정의 경우 달성.경산등 지역의 대구편입 필요성만 이해한채논의 자체를 기피하고 있어 시도의 지역개발 의지를 의심케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대구시.경북도는 세원지키기나 시도세 확보에 급급, 삼성자동차 공장유치등 사업에서 비협조적 자세를 취하거나 적정부지 확보에 방관적 자세를보여 지역 전체 개발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 광역지하철 건설사업도 사전협의없이 실현성 없는 구상만 제시, 공동추진을 어렵게 해 행정간 불협화음만 노출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이밖에 시도계 지역의 도로개발도 양측의 공동개발 협의가 안돼 뒤죽박죽 되고 있으며 쓰레기매립장.분뇨처리장등의 공동사용과 상수원정화및 수돗물 공급구역확대등 문제도 지지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같은 시도간 행정비협조로 지역개발 정체는 물론 대구대생활권 주민들의생활불편이 큰 실정이나 시도는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대구시.경북도는 대구직할시승격 10년이 지난 91년부터 {대구 대도시권행정협의회}를 운영해왔으나 3년간 알맹이없는 회의만 3회 가졌을뿐 실질적인 운영은 않고있다.

이에대해 조해녕대구시장과 우명규경북지사는 기존 대구대도시권행정협의회를 강화, 부시장.부지사 대행체제로 운영되던 개최방식을 시장.지사로 격상시키고 개최횟수도 늘려나가겠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