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노트-교사자격증 파문

교육부가 교사자격증의 유효기간제를 실시키로 방침을 정하고 당정회의에서결정했다는 보도에 일선학교가 또다시 웅성거리고 있다. 5년여를 끌어오던전교조파문이 올봄 복직으로 겨우 진정되려 하자 이번엔 교사자격증이 파문을불러 오고 있는것이다.교육부에서는 산하 교육청이나 일선학교와는 한마디 상의나 관계회의가 없었고 아직 어떤 지침도 내려보내지 않은 상태이지만 일선 학교와 당사자인 교사들은 [그게 무슨 말이냐]며 교육청 장학사들에게 빗발같이 항의해오고 있다.교사자격증의 명분은 그럴듯하다. {그럴듯하다}는 말이 {사실은 별것 아니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아직 시행도 되지 않았기에 단언할수는 없지만 잘못이용된다면 본래의 의도를 배신할수도 있다는 경고이다.

국가경쟁력이 전에없이 강조되지만 어느날 갑자기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무엇보다도 교육을 통해 차근차근 키워가야한다. 그래서 교육이 무엇보다 큰몫을 맡아야 하는것이다. 이렇게보면 교육의 경쟁력강화를 위해서는 교사들의 실력함양이 필수적이고 또 이를 위해 교사들의 연구와 노력이 끊임없이 이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이점 현직교사들도 모두 공감하고 있다.그러나 교사자질 함양이 그 자격증의 시한제로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 정기교육이나 주기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수강화, 리포트작성요구등 제도적 뒷받침이 따라주면 얼마든지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 교육계의 주장이요, 따라서[이것도 연구해야 한다]며 일선교사들은 반발하고 있다.

자격증제는 자칫 교사부족사태를 몰고 올 수도 있다. 한때 예비교사들이 저마다 시세좋은 기업체를 찾는통에 교사의 절대수가 모자랐던 적이 있었다. 그때는 임시방편으로 교사를 모셔오기 위한 별별 방안들이 생겨나기도 했었다.지금 일부 교대와 사대의 미달사태를 주목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