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구청이 뚜렷한 법적근거 없이 비디오방 등록을 취소하는등 규제에 나서자업주들이 강력반발, 법원에 제기한 {행정처분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이 받아들여져 행정력 낭비는 물론 행정의 신뢰도마저 떨어뜨리고 있다.각 구청은 지난해 7월부터 비디오방 특별관리단속반을 편성, 기존 업주들을상대로 {전업각서}를 받는등 활동을 벌였지만 3개월간의 유예기간이 훨씬 지난 12월초까지 대구시내 17개소중 자진폐쇄한 업소는 한곳도 없었다.또 지난 연말 각 구청이 비디오방에 대해 등록을 취소하자 업주들이 반발,법원에 {행정처분효력정지 가처분신청}과 {행정소송}을 함께 제기했다.이 {가처분신청}이 지난 1월 중순 받아들여짐에 따라 청소년출입, 음란및 불법복제물 상영을 제외한 칸막이.조명등 비디오방 시설은 소송결과가 나올때까지 단속의 손길에서 벗어나게 됐다는 게 구청 관계자의 설명이다.각 구청은 지난해 7월초 비디오방이 청소년들의 탈선을 부추기는등 사회적부작용이 크다며 문화체육부가 내려보낸 {비디오방 규제에 관한 지침}에 따라단속을 실시했었다.구청관계자는 [지침에 따라 단속은 했지만 법적용에 무리가 따른 것은 사실]이라며 [문화체육부가 충분한 법률검토를 거쳐 비디오방 설치를 불법화하거나 엄격한 시설요건을 규정하는등 정비작업을 선행했어야 했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