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주한외국공관 넓은 사무실 확보

주한외국공관들의 숙원이던 {외교센터}가 오는 96년 서울 서초동에 들어선다.현재 서울에 상주하고 있는 외국공관의 심각한 사무실난을 해소하기 위해외무부가 오는 9월 민자유치방식으로 외교센터를 착공키로 한 것.약 3백억원의 자금이 투입되는 지상 12층 지하 2층 규모의 이 외교센터 건물이 96년 완공되면 30여개 주한 외국상주공관 사무실이 대거 입주, 동북아지역 외교활동의 중심지가 될 것이라는게 외무부측의 설명이다.서울에 상주하는 총 87개의 외국상주공관 가운데 {내집마련}을 못해 사무실을 세내고 있는 공관은 50개이상에 달하고 있는데 외교센터가 완공되면 주한 외국공관의 사무실난이 완전 해소될 전망이다.

특히 외국공관들은 그동안 높은 임차료로 인해 사무실 유지 및 운영 등에 큰어려움을 겪어왔는데 {남산 제모습찾기사업}으로 남산 외인아파트가 철거되면 이곳에 세들어있는 10개 외국대사관과 11 대사관저가 새로운 건물을 임차해야할 판이어서 사무실난은 더욱 가중될 형편.

그러나 정작 외국공관용으로 적합한 건물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어서 서울에상주공관을 설치했거나 설치를 추진중인 몇몇 국가들은 사무실및 주택을 상호제공하는 방안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중 일부 아시아.중동.동구권 국가들은 우리정부가 대책을 마련해주지 않을경우 아예 서울 상주공관을 철수시키고 임차료가 저렴한 제3국으로 사무실을이전하겠다고 위협하는 공관마저 있는 실정.

실제로 지난 92년 아프리카 기네비오사오국은 서울에 공관신청을 검토하면서사무실및 주택의 상호제공 방안을 우리측에 제안했으나 거부되자 대만에 공관을 설치한 경우마저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무부는 외교센터를 건립, 주한 상주공관의 사무실난을해결하는 방안을 꾸준히 모색해왔으나 무엇보다 3백억원에 달하는 거액의 재원을 마련하지 못해 고심을 거듭해왔다.

특히 공관으로서의 기능과 특성에 맞도록 설계하고 50년-1백년후도 견딜 수있는 견고한 건물을 지어 입주희망국에게 저렴하게 대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 끝에 민자를 끌어들이기로 최종 결정됐다.

외교센터 건립계획은 16년전부터 추진돼 왔으나 예산부족 때문에 이제서야지각 착공되게 됐다.

외무부는 지난 58년 {서초동 외교단지 조성}에 관한 대통령의 재가를 얻어82년이 사업을 위한 토지수용등을 완료했으나 예산부족으로 착공이 번번이 지연되자 93년 {민자유치전담반}을 외교안보연구원내에 설치, 민간자본 유치를모색해왔다.

전담반은 그동안 민자유치의 가능성을 집중 검토한 결과 사업자가 건물을지어 장기간 사용토록 보장할 경우 희망업체가 있을 것으로 보고 민자유치에의한 건립계획안을 확정, 외무차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외교센터 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

즉, 사업자가 건물을 완공, 정부에 기부채납한후 장기무상사용(24년)을 허가하기로 하고 지난 6월 외교센터 사무동 건설및 운영사업자를 모집한 끝에대림산업을 선정, 외교센터 건립이 실현되게 된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