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와 교통문제**뉴욕에서 만난 대한무역진흥공사의 한 간부가 이런 얘기를 들려준 적이 있다.근래 한국을 방문한 적이 있는 뉴욕의 많은 무역상들은 한국에서 수입해 올만한 상품이 있느냐 없느냐는 둘째 문제이고 교통지옥때문에 나다니는 것 자체가 힘들어서 한국에 더이상 갈 마음이 없다라고 말한다는 것이다.굳이 외국인들의 말을 들을 필요도 없다. {자가용시대}를 무심하게 맞이한우리는 보다 편리한 생활이 아니라 {부변지삭}가 오히려 높아가는 교통생활을하고 있다. {교통상의 고통}은 이제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로, 읍.면으로까지확대되고 있다.
시민생활만의 고통만이 문제가 아니다. 한 경제분석가는 한국경제가 흑자기조로 돌아섰던 시절이 전두환정권 말기였던 것은 어떤 의미에서 불행이었다.전정권은 그 경제호조기에 골프장, 사우나, 호텔, 고급 레스토랑, 디스코장등에 허가를 남발했다. 그때 우리가 사회간접자본 투자에 한번더 심혈을기울였다면 사치성 과소비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고 경제구조는 아주 튼튼해졌을것이라고 말했다.
**수출에 큰 걸림돌**
사실 박정희정권은 군사독재와 공포정치로 많은 폐해를 남겼지만,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투자에서는 치적을 남겼다. 그런데 그같은 투자도 양적 팽창을거듭한한국경제의 덩치에 더이상 맞지않고 있다.
그리하여 우리 사회의 {인프라스트럭처}의 취약성과 관리의 후진성은 경제활동의코스트와 류통비용을 치솟게 하고 수출에도 큰 장애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점은 또 지난번 철도노조와 지하철노조의 파업 때도 경험했듯이, 어느 한부분이 좀 센 충격을 받으면 사회전체가 {면역결핍증} 증세를 보이게 하기일쑤다.
김영삼정권은 집권 첫해를 {사정회오리}속에 보냈고 2년째인 올해에는 북한의 핵개발의혹이 돌출시킨 남북문제와 온통 씨름하였다. 그 속에서 김일성과의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극적 합의와 그 직후의 김일성의 갑작스런 죽음은 온정치와 국민들의 시선까지 끌어들였다.
김일성의 장례 이후 남북문제가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는 지금 우리는 우리자신과 우리의 발밑을 한번 차분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리의 국나정치는, 우리의 경제정책은 잘 운영되고 있는가}, {신한국행열차는 어디로 가고 있으며, 잘 달리고 있는가}라고.
특히나 우리 사회는 교통.통신.정보처리.에너지.수자원&류통등 {인프라스트럭처}에 대해 총체적 재점검을 하고 장기적이고도 종합적인 새 투자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긴요하다.
이 새로운 투자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는 {21세기 아시아}를 내다보는 안목이 가미되어야 한다. 남북관계는 당분간 현상고착상태를 초래할지 모르지만,그럼에도 불구하도 동북아시아는 총체적으로 {냉전의 시대}에서 {경제협력의시대}로 나아갈 것이기 때문이다.
**선진노하우 개발을**
그런데 동북아시아, 나아가 아시아 전체는 경제발전에 있어 {인프라스트럭처}의 취약점을 안고 있다. 이 점에 대한 한국.한민족의 역할을 염두에 두고 경영과 관리에 대한 선진적 노하우도 개발해야 한다.
서로 말꼬리나 잡고 남의 실수에 편승해서 반사이익을 얻으려는 낡은 정치로는 {신한국}이 제대로 창조될 수 없다.
우리 정치도 이제 국가백년지계는 아니더라도 {시년지계}쯤은 내걸고 여야정치인들이 국민들 앞에서 자신들의 국가경영계획이 더 뛰어나다고 주장해볼 때가 되지 않았는가?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