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선거운동.환경보호등 자원봉사 활성화 아쉽다

불법선거운동감시 환경보호 불우이웃돕기 등에 자원봉사자 활동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나 지원자가 적은데다 중도탈락하거나 활동이 기대에 못미쳐 활성화 대책마련이 아쉽다.특히 이번 수성갑 보궐선거의 경우 선관위와 12의 후보들이 자원봉사자를 모집했지만 기대했던 수준에는 전혀 미치지 못해 자원봉사자를 활용, 돈안드는선거를 치른다는 통합선거법의 취지를 무색케했다.

수성갑선관위는 목표로 했던 50명의 겨우 절반을 모집하는데 그쳤고 그나마열성을 보였던 사람은 7-8명에 불과했다는 주위의 평가다.

윤원구 수성갑선관위단속부반장은 "자원봉사자 교육이 한두시간에 그쳐 낯선선거법에 자원봉사자들이 적응하기 힘들었던데다 자원봉사자 혜택조치발표가없었던 것도 한 요인"이라며 "내년 4대선거전에 {자원봉사의 경력인정}같은조치가 이뤄지고 사전교육도 시간을 두고 철저히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후보들의 경우 50-1백명씩의 자원봉사자들이 지원을 했다가 일당과 식사제공이 안되자 거의 중도포기, 모후보는 일당을 요구하는 60여명의 자원봉사자들을 돌려보내고 15명의 자신의 고교동기생 자제들로 선거운동을 했다.환경오염현장제보를 담당할 {명예환경감시원}1천8백명을 지난달 25일까지 모집할 계획이었던 대구지방환경관리청도 지원자가 적어 접수기한을 연장했다.대구YMCA에는 소비자모니터 자원봉사요원이 20명정도 필요한 실정이지만 현재 3명만이 활동하고 있다. YMCA측은 지난2월 10명을 모집했으나 현재 대부분중도포기하고 3명만 남아있는 것.

불우시설등에 나갈 자원봉사자가 대거 필요한 구청도 사정은 마찬가지여서남구청의 경우 혼자사는 노인 20세대에 자원봉사자를 파견할 계획이었으나 현재 10세대에 그치고 있다.

남구청 김만희가정복지과장은 "자원봉사자의 손길을 기다리는 곳은 많으나지원자는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라며 "법적 행정적 뒷받침을 통해서라도 시민들의 자발적 봉사활동 지원숫자를 늘리는게 급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