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불법송금 물의 박영수씨는 누구

우루과이라운드(UR) 비준동의안의 8월중 처리여부가 정치권에 뜨거운 감자로떠오르고 있다.이는 {8.2보선} 패배이후 여권의 정국운용 가늠자가 될수있기 때문이다.UR비준안의 8월 임시국회 처리문제는 8.2보선 패배와 관련한 정국타개방안과맞물려 여권내에서 조심스럽게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이를 두고 여권내부에서조차 이견을 보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민자당안에서도 적극론과 소극론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김종비대표를 비롯한 당지도부와 대다수의원들은 8월 처리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8월 임시국회에서 강행처리할 경우 정기국회의 파행이 불을 본듯 뻔한데다 야당이 필사저지의사를 표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구태여 무리를 할 필요가 있느냐는 논리다.

이한동원내총무는 "누가 그런 얘기를 하는지 모르겠다"고 불쾌감을 표시한뒤"지금까지 세계에서 24개국이 비준안을 처리했는데 그중 나라같은 나라는 그리스 하나뿐"이라며 "왜 서두르는지 알수없다"고 조기처리에 신중한 입장을보였다.

그러나 한 핵심당직자는 "8월 임시국회에서 비준안을 처리한다는 것은 기존방침이었다"며 "이러한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고 순리론에 제동을 걸었다.당내의 찬반양론과는 달리 청와대측은 {조기처리}를 굳힌 것으로 전해지고있다.

청와대는 UR비준안 처리는 더 늦출 필요가 없으며 정면승부만이 정국을 풀어나가는 최선의 방법이라는 계산인 듯하다.

이같은 당정.당내 이견에도 여권의 기류는 8월 처리쪽으로 기우는 것 같다.무엇보다도 청와대 다시 말해 김영삼대통령의 의지에 따를 수 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조기처리만이 정기국회 운영전반과 내년 지방자치선거에 부담을 줄일수 있다는 주장도 만만찮은데다 설득력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특히 강행처리 가능성은 어차피 민심수습과 정국쇄신을 위한 조치가 불가피하다는 논리에서 내친 김에 골치아픈 현안을 해소한뒤 대대적인 당정개편을통해 국면전환을 꾀하는 전략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여권이 8.2보선 패배의 충격을 흡수하고 내년 지방선거체제를 조기에구축하는 전열정비라는 포석과도 이해득실이 맞아떨어지기 때문이다.일부에서는 조기처리론을 흘려 야권과 여론의 흐름을 시험해보고 처리가 불가피하다는 대국민 홍보전략이라는 관측도 없지 않다.

민주당은 민자당의 8월 처리 움직임에 대해 "청와대와 민자당의 음모"라며즉각 강력한 반발을 보였다.

박지원대변인은 6일 "보선패배에 가장 큰 기여를 한 민자당내 민주계에서 정국돌파구 마련을 위해 청와대와 합작으로 UR협정비준안 처리를 밀어붙이려 하고 있다"며 "9월 정기국회는 정부예산안등 국회가 처리해야 할 많은 현안이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엄포를 놓았다.

강행처리냐, 연기냐는 김대통령이 휴가를 다녀오면 그 윤곽이 잡히겠지만UR비준안 문제는 향후 정국운용의 방향을 예고할 수 있는 사안이라는 점에서하한 정국의 최대변수일 수밖에 없다.

제 목 : >

한국으로의 거액 불법송금으로 물의를 빚고있는 재일동포 박영수(71.일본명나카야마 야스지)씨는 정부의 경륜.경정 공영화 방침과 대한사이클경기연맹(당시 회장 민경중)과의 의견차이 등에 따라 국내진출의 꿈이 좌절된 인물.80년대 후반 국내에 조그마한 쇠고기 가공공장을 만들었으나 제품에서 못이나오는 사고 등으로 성공하지 못했던 박영수씨는 89년 대한사이클경기연맹과는 별도법인체인 프로사이클연맹의 초대회장을 맡아 본격적으로 경륜사업을추진하기 시작했다.

그는 회장을 맡자마자 서울 강남의 우면산 일대에 대규모 경륜장 건설을 계획하는 등 전국적으로 경륜장을 만들고 사업의 이익금 일부를 국내 사이클 발전과 체육발전을 위해 사용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며 경륜사업에 2천년까지 100억원을 투자하겠다는 방침도 내비쳤다.

어릴적 일본으로 건너가 파친코와 쇠고기 가공사업, 사채놀이 등으로 돈을모은 그는 "항상 나이가 많아 일본에서 어렵게 번 돈을 국내에 투자하는 것이소원"이라는 말을 자주했었다.

그러나 그의 이같은 포부는 정부의 경륜사업 공영화 방침에따라 벽에 부딪혔다.

당시 체육부의 정동성장관은 국민체육진흥공단의 기금을 이용, 국민여가선용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아래 경륜과 경정을 그 대상으로 정하고 89년 말부터사이클연맹과는 자체적으로 사업타당성 여부를 검토하고 있었다.체육부가 90년 8월 경륜경정법의 시안을 만들기까지 프로사이클연맹을 맡고있는 박영수회장의 자문을 어느정도 받았는지는 분명치 않으나 이 초안은 박회장의 뜻과는 반대로 경륜사업에 개인의 투자를 금지하고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만 추진할 수있도록 했다.

이 시안이 통과 될 경우 사업참여가 어렵게 된 박회장은 사이클인들을 동원해 시안에 대한 반대의견을 내고 오랫동안 경륜사업을 검토해 온 사이클연맹이 경륜의 주체가 돼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91년 12월 경륜경정법이 당초 안대로 국민체육진흥공단에 의해서만추진될 수 있도록 제한된 채 통과되자 박회장은 프로사이클연맹회장직도 사퇴하고 더이상 국내에 나타나지않았다.

일부 사이클인들은 박영수씨가 당시 일본에서 크게 번창하고 있는 경륜사업을 국내에서 시행하기 위해 상당한 투자계획을 밝히고 이를 위한 노력도 많이 한 것은 사실이나 국내활동을 할 당시의 행태로 볼때 거액을 투자할 인물이 아니며 경륜사업추진은 경륜 그 자체보다는 부동산 투자에 더 큰 욕심이있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