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광활한 국경 경비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안드레이 니콜라예프 러시아 연방 국경 경비대장은 발틱국가및 구소련연방공화국등에 대한 러시아의 경비태세를 과거 소련 {철의 장막} 식으로 강화시켜불법입국등 허술한 현재의 불안정된 상태를 일소시키겠다고 발표했다.그간 러시아 국경지대는 한때 소속 공화국이었던 그루지아, 아제르바이잔등으로부터 엉성한 경비망을 뚫고 불법무기, 마약류등이 흘러들어와 러시아 범죄조직의 온상이 되어왔다.이때문에 진통을 겪고 있는 러 정부는 보다 철저한 국경수비에 임하고 특히에스토니아등 발틱국가에 대해 CIS(독립국가연합국)보다 더욱 경비태세를 갖출 것을 촉구하고 있다.
옐친대통령은 공식 발표를 통해 {발틱국가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해야 하지만CIS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다른 강력한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니콜라예프 경비대장에 의하면 금년 국경경비근무중 그루지아, 아르메니아,투르크메니스탄, 키르키즈스탄, 타지키스탄등과의 합동 경비에서 아프가니스탄 게릴라등의 공격으로 수십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말했다.그는 민족간의 전쟁싸움뿐이 아닌 급성장한 범죄조직의 대규모 밀수사건및테러행위가 최근 2년간 부쩍늘어 이를 방지코자하는 목적에서도 국경재정비강화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러정부측의 시각으로는 {국가 경비능력은 그 나라의 안정성을 측정해주는 척도가 된다}고 보고있다.
한편 발틱국가중 에스토니아는 지난 1920년 평화조약에 근거한 상당부분의영토반환을 러 정부에 요구하고 있고, 라트비아 또한 파스코프지역등 일부 영토를 돌려받기 원하고 있다.
이에 옐친대통령은 {러시아에선 더이상 소유하고 있는 여분의 땅이 없다}며이들의 요구를 일축.
러시아의 국경범위는 구소연방공화국들, 미국, 몽고등을 포함해 약6만9백km이상을 접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의 국경 경비강화라는 발표와는 달리 재정난에 빠져있어 사회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금년 예산액도 할당된 액수의 3분의2 정도밖에 조달되지 않았으며, 징병문제또한 골치를 썩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러경비대장은 그렇지만 징병자 20만명중 일부를 뽑아 강력히 경비에 치중케하고 항공 및 장갑차등에 더욱 준비를 기울이고 있다.
국경 6만km중 1만4천km는 법적으로 이미 분리돼 있어 경비문제에 세심한 주의를 돌리고 있다. 철의 장막식 경비강화.
이것이 오늘 러시아가 시도하는 국경 경비대에 대한 보수적 경비자세의 다른일면으로서, 당분간 이 제도는 강화된채 지속되어 나가리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