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및 남북관계**대구시민들은 김일성사망으로 남북관계가 개선될 것으로 보았다. 응답자의 42.5%가 김일성이 살아있을 때보다 더 좋아질 것으로 응답했으며 김일성생존시보다 어려워질 것으로 응답한 사람은 27.2%였다.
남북통일에 대해서는 72.2%가 정치.경제.사회혼란 등 통일부작용을 감안, 점진적으로 이뤄져야한다고 응답한 반면 27.8%는 부작용이 있더라고 빨리 돼야한다고 답했다. 한반도 통일가능시기는 전체 응답자의 40.5%가 10년 이내로내다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년이내는 21.8%, 20년이내 14.2%, 통일불가능 8.2%순으로 응답했다.
김일성사망이 통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2.2%가 통일이 더빨라질 것이라고 응답했고 더 늦어질 것은 26.2%, 별다른 변화가 없을 것27.7%로 나타났다. 김일성사망과 전쟁발발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더 낮아질 것31.3%, 더 높아질 것 31.2%, 별 변화 없을 것 37.5%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남북통일의 장애요인은 무엇인가에 대한 설문에서 남북간의 이념대립과 남북집권세력간의 이해관계대립에 각각 32.0%의 응답률을 나타내 많은 대구시민들이 남북한 내부문제를 통일의 걸림돌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주변 강대국의 이해관계 27%, 남북간의 경제적 격차도 8.8%로 나타났다.북한의 핵보유 가능성과 관련 전체 응답자의 84.2%가 가지고 있을 것으로응답한 반변 가지고 있지 않을 것이란 응답은 10.3%에 지나지 않았다. 북한핵문제 해결은 응답자의 과반수인 71.7%가 현재까지 개발한 핵문제의 의혹을말끔히 없애야한다고 응답, 매우 강경한 태도를 보였으며 40.7%는 과거는 묻지말고 앞으로 더이상 핵개발 의혹이 없도록 해야한다고 응답, 절대다수의 시민들은 북한의 핵개발을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나타냈다.김정일체제에 대한 전망에 대해 55.0%가 오래가지 못할 것으로 응답했으며오래갈 것이란 응답은 12.3%, 잘모르겠다도 12.7%로 나타났다. 향후 북한의대외정책은 개혁.개방체제로 나갈 것 68.3%, 더욱 폐쇄적 태도를 보일 것20.3%로 내다봤다.
북한이 어떻게 변해야 남북통일에 유리할 것인가는 설문에서 42.8%가 북한의 체제붕괴가 일어나야한다고 응답했고 49.3%가 북한내부 권력투쟁 등으로변화와 갈등이 있어야한다고 응답,대다수의 시민들이 북한사회의 안정을 바라지 않았으며 김정일체제로 안정돼야한다는 사람은 17.7%에 불과했다.김정일이 남북정상회담을 제안해올 경우 65.2%는 적극적으로 정상회담에 응해야한다고 응답했고 북한체제가 안정될 때까지 미뤄야한다는 응답도 31.0%를차지해 북한의 정세를 더 지켜본 뒤 신중하게 대처해야한다는 시각도 적지않았다.
향후 남북관계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야할 문제로 시민들의 25.3%가 통일문제를, 25.0%가 한반도 평화정착을 각각 거론해 특정사안보다 한반도의 긴장을완화하는 근본적인 문제를 총체적으로 다뤄줄 것을 바랐다. 이밖에 이산가족교류 18.3%, 핵문제 해결 16%, 경제협력 15%순이었다.
남북통일후 우리경제의 전망에 대해선 56%의 응답자가 통일전보다 발전할것이라고 밝혔으며 현재보다 못할 것이란 응답은 37%로 나타났다. 통일부작용과 관련 경제적 불균등과 격차에 33.7%, 이념적 차이와 갈등에 32.5%가 각각 응답해 많은 시민들이 현재 남북문제가 통일뒤에도 여전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다.
**정치의식**
김영삼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해서는 김대통령의 취임직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85.5%였으나 현재는 46.1%에 불과하다. 특히 적극적인 지지율은 11.5에서 2.3%로 떨어졌으며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적 평가는 13.4%에서 52.8%로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김대통령 취임직후 전반적인 지지열기에 비해대구시민들이 김대통령의 국정수행 등 정치역량에 대해 긍정적 평가에서 부정적 평가로 변하고 있음을 나타내주는 것이다.
세부적인 분야별 평가에서 대구시민들은 새정부가 펼쳐온 사정및 개혁활동에 대해 가장 부정적으로 응답했다. 14.5%가 잘한다고 응답한 반면 43.7%가잘못한다고 응답했다. 물가및 경제활성화 부문은 61.2%가 잘한다고 평가해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환경.치안.노사관계 등 사회.민생문제와 남북문제는 각각 44.5%와 39.5%가 잘한다고 응답, 대체로 중간정도의 평가를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철언전의원의 유죄판결에 대해 대구시민의 33.7%는 정당한 판결이었다고응답했으나 33.8%는 편파적인 판결로, 31.7%는 정치보복적 판결로 받아들이고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성갑 보선의 성격에 대해선 대구시민의 42.8%가 현정권에 대한 대구시민들의 중간평가란 견해를 보였으며 21.6%는 단순 보궐선거, 20.9%는 박전의원의 구속에 대한 유권자의 평가, 12.7%는 대구정서를 확인하는 선거로 보았다. 수성갑 보선의 공명성에 대해 71.0%가 공정했다고 평가했으며 공정치못했다는 부정적 평가는 22.5%에 지나지 않았다.새선거법 제정과 관련 향후선거풍토의 전망을 묻는 설문에서 73.0%의 응답자가 차츰 개선될 것이라고응답했으며 14.3%는 깨끗한 선거가 정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12.2%는새선거법 제정에도 불구하고 혼탁선거가 계속될 것이라며 회의적인 반응을보였다.
향후 대구지역의 정치성향에 대해 지지정당이 없다는 기존정당 불신층이 57.2%에 달했으며 민자당지지는 24.5%, 민주당과 신민당지지는 각각 9.5%,8.8%로 나타났다. 대구지역 국회의원들에 대한 평가는 84.3%가 기대에 못미친다며 부정적인 평가를 했으며 잘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는 15.2%에 불과하다.
**지방자치**
대구시의회와 각 구의회 등 지방의회가 대구시발전에 미친 영향에 대해 53.0가 전혀 도움이 되지않았다며 부정적인 평가를 했으며 26.7%만 도움이 되었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대구시의회가 가장 역점을 둬야할 일로 대구시민들의 42.7%가 지역경제 활성화라고 응답했으며 27.0%가 시민여론의적극적인 수렴, 11.8%는 생활환경 개선과 공해방지노력을 들었다.내년6월에 실시될 4대 지방선거와 관련 77.0%가 지역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기대를 표시했고 22.6%는 지역발전에 별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민선 대구시장으로 적합한 인물로 대구시민들은 47.5%가 행정경험이 풍부한전현직 시장출신을 선호했으며 두번째로 교수.언론인.법조계 인사 등 전문가그룹, 세번째는 기업가 출신 등 경제계 인사를 꼽았다. 반면 국회의원 등정치인과 지방의회 인사들에 대한 지지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선 대구시장의 자격요건으로 대구시민들은 40.7%가 풍부한 행정경험을 들고 다음으로25.3%가 인품과 덕망, 18.7%가 신선함과 참신성을 꼽았다.
대구시역 확장과 관련 대구시민의 67.8%는 대구주변지역인 달성.고령.경산.칠곡 등 일부 지역을 대구시에 편입해야한다는 견해를 밝혔으며 현재 시역대로 좋다는 응답자는 24.2%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대구시와 경북도의 통합에 대해선 7.7%만이 찬성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