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개념인 펌웨어(Firmware)란 말이 없진 않았지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시스템을 구성하는 양대 개념이었다. 그러나 최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공유하거나 전혀 새로운 기능을창출하는 {그룹웨어} {미들웨어} {유스웨어} {휴먼웨어} {통합웨어} 등 신개념들이 속속 등장, {하드웨어 대 소프트웨어}라는 컴퓨터환경의 이분법 구도를 깨고있다. 이들 신개념을 정리한다.**그룹웨어**
기업이나 사무실 단위로 개인용컴퓨터를 근거리통신망(LAN)으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거나 가공하는 컴퓨터 사용환경을 말한다. 따라서 그룹웨어란 단어속에는 소프트웨어를 공유한다는 뜻이 들어있다. 그룹웨어에서의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업무를 하나로 묶는 규격화된 것이어서 업무 통합은 물론 사용법숙지가 훨씬 쉬워진다.
작은 컴퓨터(PC)를 여러대 연결해 큰 컴퓨터와 같은 효과를 얻을수 있다는점이 그룹웨어의 매력이다. 그룹웨어의 개념을 확대하면 각 업무 분야의 전문가가 컴퓨터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해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경지에 이른다.그룹웨어는 미래의 중추적인 컴퓨터 환경으로서 현재 로터스 디벨로프먼트등 세계 굴지의 소프트웨어 회사가 사운을 걸고 개발 경쟁을 벌이는 분야다.
**미들웨어**
큰 컴퓨터 하나와 작은 여러 컴퓨터를 연결하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중간에 설치돼 각 장치와 소프트웨어, 운용체계의 연결을 도와주는 하드웨어및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컴퓨터를 여러대 연결해 사용하다 보면 각 장치와 응용소프트웨어간에 충돌이 있기 마련인데 미들웨어는 이들 사이에 끼어들어 운용을 도와주는 해결사다.
대형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 중소형컴퓨터(미들 서버)를 끼워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들수 있다. 중소형컴퓨터는 호스트컴퓨터의 과부하를 덜어줘 업무의분산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미들웨어는 또 MS-DOS나 유닉스(UNIX)등 PC용소프트웨어를 쓸수 있기 때문에 PC정도만 다룰줄 알면 누구라도 네크워크 아래서 정보를 공유하거나 가공할 수 있도록 컴퓨터 환경을 열어놓는 효과를낳는다.
**유스웨어**
최근 일본에서 생겨난 개념으로 컴퓨터의 운용방법에 대한 모든 지식과 기술을 뜻한다. 업무의 근본적인 혁신을 위해 컴퓨터를 들여 놓았는데 이를 어떻게 운용하는지 몰라 갈팡질팡하는 사용자들을 체계적으로 도와주고 지원한다는 의미다. 일본에서는 지난 92년 소프트웨어업자들이 일본 유스웨어협회(JUA)를 만들어 컴퓨터사무환경을 구축했거나 도입하려는 이들을 상대로 체계적인 상담, 지원, A/S등의 영업을 벌이고있다.
**휴먼웨어**
컴퓨터환경 속에서도 리엔지니어링의 핵심은 조직 구성원인 사람이라는 사고로 태어난 신조어다. 컴퓨터 환경이 만들어 낼지도 모를 구성원 사이의 단절을 예방하고 유대의식을 높이자는 게 골자다. 휴먼웨어는 컴퓨터 사용환경을보다 인간중심의 환경으로 만들어 생산성을 극대화한다는 취지를 지닌다.**콤포넌트웨어**
업무별로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소프트웨어에 각종 응용소프트웨어를 부품처럼 추가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하나의 소프트웨어 속에 워드프로세서 회계용 스프레드 시트 등 각종 사무용 프로그램이결합된 통합 소프트웨어가 한 예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