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신민내분에 지역 세의원 속앓이

신민당의 김동길 박찬종 공동대표의 망신살 뻗친 집안싸움에 대구출신 의원들의 속사정은 어떨까. 지난 보선이후 {반민자 비민주}의 대구 정서를 반영한신민당에 대한 기대가 계속되는 내분 사태로 인해 급속도로 허물어지고 있는현상황속에서 대구 의원들의 마음은 한마디로 답답할 뿐이다.한데 뭉치기에는 각자 {색깔}이 분명한 류수호 김복동 현경자의원 세사람은약간씩 노선 차이는 있지만 가능한한 중도적으로 내분 사태를 관망한다는 입장이다. 수습 기미가 보이지 않는 집안싸움에 섣불리 개입해 운신을 어렵게하지 않겠다는 것이다.김대표나 박대표 어느쪽도 편들기가 가장 어정쩡한 입장이 바로 박철언전의원과 현의원. 형 만기가 안된 박전의원은 공식적인 정치활동이 중단된 상태이고 정치 초년생인 현의원은 신중한 자세로 당내 화합을 바라며 안타깝게 지켜보는 형편이다.

경북고 1년 선후배사이로 비주류에 속했던 류의원과 주류였던 김의원은 예전처럼 확연히 구분되지는 않지만 노선의 차이를 보인다.

그런데 김대표의 사퇴.복귀 파동을 공개적으로 비난, 비주류 양순직최고위원과 가깝게 지내던 류의원은 요즘 비주류에서 약간 발을 뺀듯 하다. 원리원칙주의를 따르는 중도파임을 내세우면서, 김대표도 무책임하고 박대표도 폭력전당대회를 여는 방식은 안된다는 입장이다. 류의원은 {김동길 대권-박찬종서울시장-양순직당권}론을 해결방안으로 제시해둔 상태다.

주류 김대표측과 친분이 두터운 김의원은 박대표의 폭력전당대회는 잘못됐다고 주장하는 등 주류측과 같은 의견을 보인다. 이 전당대회에서 김의원이 최고위원 자리에서 빠진 것도 주류에 속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그러나 김의원은 어느 편이라고 가르는 것은 못마땅하다면서 부당한 술수를배제한 상태에서 당이 정상화되는 방안을 찾아야한다고 주장한다. 김의원은김대표, 박대표, 양최고위원이 모두 사퇴한뒤 전당대회에서 자유경선으로 타협점을 찾아야 할 것이라는 조정안을 내놓고 있다.

김의원은 현재 신민당에 대한 기대가 허물어진만큼 개인적인 인물론을 부각시킨다는 전략으로 내년 단체장 선거를 겨냥, 지구당 간부및 주민들과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조직 정비에 힘쓰고 있다.

어쨌든 당을 결속하는 시지부 하나 없이 {무소속}이나 마찬가지로 각자 활동해온 세사람이 사태의 추이에 따라 어떤 행보를 걸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