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40억여원을 투입, 건립하는 대구실내빙상장의 운영주최인 대구시빙상연맹과 대구시아이스하키협회가 지역동계스포츠 활성화라는 근본취지에 맞게 빙상장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빙상연맹과 아이스하키협회는 지난해 9월 대구시로부터 빙상장의 위탁관리권을 공동으로 따냈으나 각종 이권다툼으로 내분에 빠져 10일 현재까지도 운영조직조차 완전히 갖추지 못하고 있다.이러한 가운데 지난해 연말로 예정됐던 빙상장 준공은 해를 넘기고 오는 3월이 돼야 개관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대구빙상장의 운영권을 놓고 빚어진 문제점들을 파헤쳐보고, 바람직한 운영방안을 관계자들의 의견을 들어 모색해본다. (편집자주)대구빙상연맹과 아이스하키협회의 빙상장에 대한 이권다툼은 이미 예견된 것이었다는 지적이다.
두 단체는 4개월전 지역여론에 힘입어 경쟁업체인 대구스포츠센터(주)를 힘겹게 제치고 대구빙상장의 운영권을 따낼 때부터 불씨를 안고 있었다.대구를 주무대로 수십년간 기반을 닦아온 빙상연맹(회장 한재동)은 아이스링크운영에 대한 실무능력을 전혀 갖추지 못한 약점을 안고 출발했다.반면 지난해 뒤늦게 정식출범한 대구아이스하키협회(회장 박기수)는 서울에서 내려온 선수출신의 관계자들이 포진, 링크에 대한 노하우등 업무추진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이같은 구조로 인해 아이스하키협회가 각종 업무를 주도, 다툼은 당연히 벌어질수밖에 없었다는 분석이다.
운영권을 확보한 두단체는 '말썽의 소지를 없앤다는 차원에서 빙상장을 재단법인화한다'는 대구시의 결정에 따라 가칭 [재단법인 동계스포츠센터 운영위원회]를 만들었다.
두 단체는 회장출연금 등으로 각각 1억5천만원씩 3억원의 기금을 마련하고본격적인 조직구성에 들어갔다.
문제는 조직을 구성하면서 곧바로 불거져 나왔다.
실내빙상장을 이른바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인식한 두단체 관계자들은 이사장 사장전무 상무등 다양한 직책을 마련, 나눠먹기식으로 직위를 배분했다는 것이다.
또 상당수의 직원을 채용키로 하고 관계자들을 비롯한 직원들에게 고액의 보수를 지급키로 방침을 세웠다.
이와 함께 일부 관계자들이 빙상장내의 식당 매점 신발대여장등을 친,인척에임대하려 하는등 이권챙기기에 급급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불신에 빠진 두 단체는 상호 비방과 함께 허위정보를 언론에 흘리는등 잡음의 소용돌이에 휘말렸다.
그러나 재단법인 동계스포츠센터의 대구빙상장 운영은 정부의 신규 재단법인설치불가 방침에 따라 급제동이 걸린 상태.
대구시는 문화체육부의 공문에 따라 두 단체가 공동으로 한 재단법인의 설립을 거부하고 임의로 연맹이나 협회중 한단체에 운영권을 주기로 내부계획을세워놓고 있다.
따라서 대구빙상장은 한단체의 명의로 운영되게 된 것.
두단체는 10일 현재 명의를 놓고 내부조정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운영권잡음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김교성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