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통화위기최악 당국속수무책

멕시코가 통화위기로 국가경제 전체에 심각한 위기를 맞고있다. 이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나라가 처하는 경제위기라는 점에서 WTO시대와 {세계화의 원년}을 맞은 우리로서는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미국을 비롯한 서방 선진국들이 이같은 멕시코 통화위기의 불을 끄기위해 총1백80억달러에 이르는 국제 금융지원 보증을 약속하고 나섰으나 과연 지난 수년간 누적돼 온 페소화의 과대평가가 근원적으로 치유될지는 미지수다.멕시코는 지난 87년12월 살리나스 전임대통령 취임을 맞아 경제안정의 근원인 통화안정을 위해 페소화의 대달러화 고평가정책을 무리하게 유지해 왔었다.그것은 고성장 정책에도 불구 지난 87년 1백59%였던 인플레가 93년 8%, 94년10%로 낮아졌던 것만 봐도 잘 나타난다.

이같은 페소화의 고평가는 억제선을 견디다 못해 어네스토 세딜리오 현정권이 출범한 지난해 12월20일부터 관리환율변동제로 바뀌었고 이어 환율변동폭을 줄였다가 결국은 자유환율제로 굴복하고 말았다.

결국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이 불가피해쳐 외환보유고를 쓰기 시작, 최근 통화위기로 지난해 연말 중앙은행이 발표한 외환보유고 2백50억달러가 지금은60억달러로 줄어 금고가 거의 바닥난 것으로 알려져 불과 열흘새 무려 1백90억달러가 페소화의 안정기금으로 외환시장에 날려 버린 것으로 나타났다.멕시코의 통화위기는 빈부격차해소등을 요구하는 농민이 중심이 된 국내반란군 문제와 함께 새로 출범한 세딜리오정권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지난주발표된 세딜리오 멕시코대통령의 특별대책도 *경상수지 적자 단기간 대폭감축 *경제활동및 고용회복을 위한 조건조성 *페소화 평가절하가 인플레에 미치는 영향 축소등 극히 원론적이고 마치 세마리의 토끼를 쫓는 듯한 정책이 전부라 더욱 우려를 낳고 있다.

이같은 멕시코의 위기는 현지에 진출한 우리기업들로서는 생산품을 거의 전량 미국에 수출한다는 점에서 큰 문제가 없으나 외상으로 물건으로 준 기업이나 멕시코와 무역을 하는 기업들은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무엇보다 이번 멕시코의 통화위기는 시행 1년을 맞은 NA구의 목소리가 높아진다는 점에서 정치적 논란까지 불러 일으켜 멕시코 정부뿐만아니라 자유무역을 확대추진하려는 미국에 대해서도 큰 짐이 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