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알뺑이 빠진 '교육개혁'

교육부의 교장에 대한 학교 운영권 대폭 위임 계획에 대해 지역교육계는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으나 현행 대입시 제도가 개선되지 않는한 초중고 교육이 입시위주 교육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또한 이같은학교별 차별화가 교육 정상화보다 되레 입시에 치중하는 방향으로 왜곡될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대구시교육청 초등교육국 장태영국장은 "지금까지 학교들이 지나치게 일률적으로 규정된 양식에 묶여서 독자적 판단을 갖고 교육을 창출해 갈 여지가 적었다"며학교장 재량 확대를 환영했다. 이와 관련 다른 한 관계자는 "심지어주관식 문제를 출제하려 해도 채점을 놓고 감사 등에서 지적 당할까봐 소신껏 결정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며 교육부의 위임계획을 찬성했다.따라서 학교들이 서울 같은 대도시와 도서 벽지 지역 등 환경이 전혀 다르면서도 그에 맞는 교육을 할 수 없는 획일성이 한계가 돼 왔으나,학교장 재량에 맡겨질 경우 이같은 모순이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그러나 경상고 朴泰鈺교감은 "교육이 바뀌어야 하는 것은 틀림 없는 현안이지만, 이번 시도가 잘 시행되려면 대학 입학 전형 제도의 개혁과 고교 평준화 폐지 등이 선결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학 신입생 전형 제도가 바뀌지않는한 초-중-고 교육이 입시 위주에서 벗어날 수 없어 확대된 교장 재량폭이 경쟁적 학력 향상에 집중될 가능성이 없지 않아 오히려 역작용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다른 관계자는 당장 입시에 큰 구애를 받지않는 국교의 경우에도 이번 조치에 따라 개성 계발과 인격 형성 위주의 교육을 하고자 한다해도, 학력 향상에 매달리는 학부모들이 오히려 학교 방침에 반발할 가능성도있다고 예상했다.

대구고 金潤東교감은 "갑작스런 얘기가 돼서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제시될지는 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하고 "교과과정의 경우 국가에서 교육시책에따라 정하는것인만큼 개별 학교장이 선택할 여지가 적은 것이 세계적으로 공통적인데,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결과가 주목된다"고 말했다.〈朴鍾奉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