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아파트준공후 분양제도'의 97년 도입검토방침이 발표되자 주택업계는 긴급대책회의를 개최, "현시점에서는 시기상조"라고 주장, 새제도가 강행될 경우 지역 2~3개 대형업체를 제외한 대부분 업체가 업종전환 또는 연쇄부도사태에 직면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또 이들업체들은 중도금수입이 끊길 경우 금융비용부담이 2배이상 늘어날수밖에 없어 전체 주택공급물량의 70%선을 점유하는 민간부문 물량이 격감,안정기조를 보이고있는 부동산가격의 폭등이 우려된다고 밝혔다.그러나 주택실수요자들은 "현재의 선분양관행이 주택업체만 배불리는 불합리한 제도"라며 차제에 부실시공,입주시기연기,공사중 업체부도로 인한 피해등을 막을수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있다.또 실수요자들은 고품질,무하자 주택을 공급할수있는 대책도 강구돼야 한다고 말하고있다.
청구는 정부방침발표이후 긴급간부회의를 여는등 부산한 움직임을 보이면서 정부가 계획을 강행할 경우 건립물량을 대폭 축소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 우방도 "아파트건립을 계획물량의 10%선으로 줄일 수 밖에 없다"며구체적 후속조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신한산업은 "지역 대부분 중소업체가 자금력이 달려 대규모 아파트사업을 포기할수밖에 없다"며 앞으로는 자금부담이 적은 소규모 빌라정도로 사업영역을 대폭축소할수밖에 없을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주부 김숙흐ㅟ씨(41.대구시북구태전동)는 "현행 선분양관행이 납입중도금에대한 이자는 인정않으면서 연체시에는 연17%의 연체료를 물리는것은업계의 횡포"라고 비난했다.
또 시민 김해수씨(41 대구시동구신암동)는 "아파트를 끝까지 지을 능력도 없으면서 중도금을 받아 공사하는 땅짚고 헤엄치기식 관행은 불식돼야 한다"며당장 준공후 분양제 도입이 어려우면 전체공정의 50%이후 분양하는 점진적조치라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국현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