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직물합리화 6월말 폐지

9년동안 섬유업계 울타리역할을 해온 직물합리화 조치가 오는 6월말 종식을앞두고있어 엄청난 변화가 예상되고있는데도 지역섬유업계는 물론 당국조차아직 이렇다할 대비책을 마련하지 못하고있다.직물합리화조치는 정부에서 직기를 엄격히 관리,업계의 과잉경쟁을 막아주고직기개체자금을 지원해주는등의 대규모 정책사업으로 사실상 섬유업계 성장의 '밑거름'역할을 해왔으나 WTO(국제무역기구)등의 영향으로 6월말 완료가 불가피해 지역섬유업계는 앞으로 '적자생존'의 새로운 환경변화에 직면하게 된다.

우선 직기도입이 자유화되면 직물생산 과잉으로 직물가격파괴라는 혼란이 불가피하다. 그래서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직기관리조치인 '직기등록제'가어떤 형태로든 유지되기를 원하는데 비해 대기업들은 경쟁력강화 차원에서완전자유화를 주장, 업계에서조차 구심점을 찾지못하고있는 실정이다.또 장기저리 정책자금이 차단될 경우 물량위주 생산체제를 갖추고있는 지역섬유업계는 제품고급화에 실패할수밖에 없는등 심각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데도 아직까지 이에대한 논의조차 되지않고있다.

대구경북견직물조합 안도상이사장은 "합리화조치 폐지는 세계화 흐름속에서어쩔수없는 현상이지만 업계로서는 혁명적인 변화"라며 "어떤 형태로든 보완조치가 만들어지지 않으면 중소기업이 대부분인 대구섬유업계는 설땅을 잃게된다"고 크게 우려하고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