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음력으로 설은 추석과 더불어 민족의 2대 명절이다. 추석이 오곡백과 풍성한 만월을 기준으로 한 것이라면 설은 달이 완전히 사라진 캄캄한 그믐에서 새로운 출발을 다짐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달의 모양과 인간생활의 변화가 일치한다고 믿어온데서 비롯된 것이다. 달이 없어지면 물리적인 삶은물론이고 한 집단의 생활도 중지되는 전이기가 되는 셈이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한 통과의례가 아니다. 새해 새로 돋아나는 달의 새로움에 순조롭게적응하려면 몸과 마음을 스스로 삼가하고 조심해야 한다고 믿었다. 객지에살던 일가친척이 귀향하여 함께 조상에게 차례를 올리고 웃어른에게 세배를드리는 것도 다 새로운 시간을 맞이한데 따른 추원보본의 의례라고 볼 수 있겠다. ▲물론 이러한 고유의명절도 세월이 흐르고 시대가 변함에 따라 그 개념자체가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다양하게 펼쳐지던 각종 놀이풍속도 사라지거나 시대에 맞춰 변하고 있고 차례상에 올려지는 제수도 상당수는 옛조상들이 맛보기는 고사하고 구경조차 못했던 것들로 진설되고 있는 것이 오늘의세태다. ▲올해의 설연휴도 교통 대란에서 시작하여 교통대란으로 끝날 것같다. 조금이라도 더 빨리 고향을 찾기 위해 벌이고 있는 TV화면의 귀성추태는 곧 새해를 맞이하는데 대한 삼가함이나 경건한 마음이라곤 조금도 보이지않는다. 제발 새해를 보내고 난뒤 귀가모습은 서로가 삼가하고 양보하는 미풍을 보였으면 좋겠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