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자당이 당대표 인선을 둘러싸고 다소 진통을 겪고 있으나 '2.7 전당대회'이후 나아갈 진로에 대해서는 지자제총력체제로 모아지고 있다.당대표가 누가 되건 이른바 실세로 지칭되는 중진들이 전면에 배치돼 총력동원체제로 당이 운영될 것이라는 점이다. 즉 새정부 출범이후 지난 2년간 민주계 중심으로 운영돼온 당의 모습과 체제가 이번 전당대회를 계기로 크게변모할 것이라는데 이의가 별로 없다.'12.23 개각'에서 민주계가 거의 배제되고 민정계가 전면에 부상한 것과유사한 구도가 될 것이라는 점이다. 이런 그림은 우선 6월 4大 지방선거를위한 포석이라고 할수 있다.
지자제 선거는 96년 총선과 97년 대선의 전초전일뿐 아니라 김영삼대통령의집권 2년에 대한 중간평가의 성격을 띨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대회보이 불가피하고 이를 위해 뒷전에 머물렀던 민정계를 전면배치하지 않을수 없다는 분석이다.
민정계를 특별히 배려한다는 차원보다는 지자제 선거에서 필승을 거두기 위한 선거전략적인 측면에서 민정계의 중용이 필요하다는 점은 민주계도 인정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보수신당이 출현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지 않을수 없는 것이다.민자당 전당대회직후 탈당과 보수신당 창당의 수순을 밟고 있는 김종필전대표의 반발이 현재로서는 비록 '찻잔속의 태풍'에 불과할 것이라는 전망에도 불구하고 민정계의원들의 심리적인 동요를 촉발한 것만은 사실이다.따라서 민정계의 동요와 불만을 잠재우고 당장 코앞에 닥친 선거를 치르기위해서는 당대표를 민정계에 할애하거나, 아니면 주요 당직에 기용함으로써소외감을 덜어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전대직후 구체화될 민자당의 지방선거 총력동원체제는 신임 대표인선을 둘러싼 당내 논란과는 별개의 사안이다.
현재로서는 가장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진 정원식전총리등 원외 인사가 새대표로 낙점되든 중진실세가 대표를 맡게 되든 어느 경우든 가용인력의 총동원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원외인사가 등장할 경우 당내 장악력이 오히려 김종필전대표 체제 보다 약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철저한 역할분담을 통해 새대표의 약점을 보완해야할 필요성이 절실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외부 인사가 대표를 맡게 되면 민정계 실세인 김윤환 이한동의원등을 사무총장 정무장관등 6役내에 포진시킬 것이라는 추측이다. 나아가 이춘구국회부의장을 당직에 징발할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
대신 경선으로 선출하는 원내총무는 계파안배 차원에서 민주계가, 정책위의장은 전례대로 민정계가 맡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민주계가 당살림을 책임지고 있는 사무총장 자리를 지키기 위해 당6역중 서열 3위인 전당대회의장까지도 민정계에 양보할 수 있다는 뜻을 공공연하게 내비치고 있어 주목된다.
다른 한편으로 만약 민정계 중진이 대표를 맡게 되더라도 다른 중진의원의일선배치 또한 불가피하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후계구도의 조기 가시화를 방지하고 이에 따른 통치권 누수현상을 막기 위해서도 여권핵심부가 견제와 균형을 통한 원만한 당운영을 유도해나갈 것이라는 점을 들고있다.
또한 불필요한 당내 갈등해소와 결속을 위해서도 각 계파 수장의 적절한 안배는 고려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얘기다. 이를테면 김윤환 이한동 이춘구의원등 중진실세중 어느 누가 대표가 된다해도 다른 중진에게 이를 보완하는역할이 부여될 것이라는 해석이다.
당12역회의 신설로 지위가 격상된 세계화추진위원장 국책자문위원장 총재비서실장 대변인 교육연수원장과 중앙상무위의장에는 4선과 3선급 의원들이 포진될 것으로 보인다. 이역시 현재 다선의원 인적구조상 민정계가 주류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함께 중간당직인 기획조정위원장 조직위원장 홍보위원장 여성위원장 정세분석위원장과 제1.2.3 정책조정위원장 민원위원장등 15개 상설기구위원회위원장과 평화통일위원회등 4개 특별위원회 위원장에는 재선급 의원들이 기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