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재일교포"죽어도 한민족으로"-61%

대다수의 재일한국인들은 일본 귀화에 부정적이며 귀화하더라도 한민족으로살겠다는 의사를 갖고 있는 등 일본사회의 변함없는 차별속에서도 강한 민족의식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이와함께 재일교포들은 민족적 차별과 관련,일본에서의 참정권 보장,공무원·교원의 채용및 사회보장제도 개선등을 강력히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주일 한국대사관이 권위있는 여론조사기관인 닛케이 리서치에의뢰,지난해 11월22일부터 12월5일까지 민단계 교포 3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재일한국인 생활의식조사'(응답률 21%)에서 드러났다.

주일대사관이 해방50년,한일국교정상화 30주년을 맞이해 재일동포의 생활의식실태를 파악,효율적인 교민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처음으로 실시한 이 조사에 따르면응답자의 61.2%가 '일본국적을 취득할 의사가 전혀 없다'고 대답했으며,귀화하더라도 한민족으로 살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교포가 절반이상을차지했다.

반면 신청절차 간소화등 '현재의 귀화제도가 개선되면 귀화하고 싶다'고 응답한 교포는 31.2%, '현재의 제도하에서라도 귀화하고 싶다'고 대답한 교포는 6.2%에 불과했으며 귀화희망률은 3세이하등 젊은 세대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함께 제사등 민족풍습을 유지해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71.7%였으며동포끼리의 결혼에 대해서는 43.9%가 찬성의사를,26.2%가 부정적인 입장을보였다.

그러나 고국으로의 영주귀국을 희망한 교포는 21.2%에 그쳤으며 그 조건으로는 '한국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여건이 될 때'(54.2%), '안정적 수입이 보장될 경우'(34.4%), '조국이 통일될 때'(27.1%)를 각각 꼽았다.귀국희망자의 경우 1세는 36.7%였으나 3세이하는 3.6%에 불과했다.민족차별 경험여부에 대해서는 4명에 3명꼴로 차별을 경험했다고 토로했으며차별내용으로는 '학교에서 친구로부터'(50%)가 가장 많았고, '취직시'(41.5%),'지역사회내'(28.6%), '주택임차시'(28%), '융자시'(28%)등의 순이었으며학교교사로부터 차별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사람도 21%에 달했다.이와함께 응답자의 57.2%가 앞으로도 이같은 차별은 없어지지 않을 것으로전망했으며 앞으로 개선돼야 할 과제(복수응답)로는 '일본에서의 참정권인정'(84.3%), '공무원·교원의 채용제도 개선'(80.2%),장애기초연금 가입등'사회보장확대'(67.8%), '재일한국인의 고용확대'(60.2%), '외국인등록제도개선'(59.4%)등을 지적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