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농가의 평균소득이 2천만원을 돌파,4년만에 2배로 늘어나면서 도시근로자 가구소득과의 격차가 연간 10만원으로 좁혀 졌다.또 소득에서 조세공과금을 뺀 가처분소득은 도시근로자소득을 크게 앞질렀고농가에서 저축하고 투자할 수 있는 여력인 농가경제잉여금이 전년보다 50% 늘어났으며 부채는 1백만원이상 증가했다.
이와함께 자동차는 4가구당 1대, 컴퓨터는 10가구당 1대가 보급되는 등 농어촌의 문화생활이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농림수산부가 전국 3천1백40개 표본농가를 대상으로 조사, 발표한 '94년도농가경제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당 평균소득은 2천31만6천원(월평균 1백69만3천원)으로 전년보다 20·0% 증가하면서 처음으로 2천만원대에 진입했다.
이같은 소득은 지난해도시근로자 가구소득 2천41만6천원의 99·5%수준으로92년보다 10·4%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농가소득이 대폭 증가한 것은 시설농업, 과수, 축산 등 고소득 작목이 크게 늘어나고 가뭄 등으로 농산물가격이 상승해 농업소득이 증가한데다 농공단지취업 등 겸업에 따른 농외소득이 늘어났기 때문이다.농업소득은 1천32만5천원으로 93년의 8백42만7천원에 비해 22·5% 늘어났고농외소득은 6백18만4천원으로 전년대비 22·7% 증가했다.
농가자산 및 부채를 보면 자산은 1억4천1백90만원으로 전년대비 6·5% 증가했으며 이중 예·적금, 대부금 등 유통자산은 1천5백48만1천원으로 47·9%나늘어났다.
또 농가경제잉여금(소득에서 가계비, 조세공과금, 본가지출비를 뺀 금액)은6백41만4천원으로 전년보다 50% 증가, 농가경제가 호전되고 있음을 반증했다.농가의 부채는 7백88만5천원으로 15·5% 증가, 전년의 20·1%에 비해 부채비중이낮아졌다.
농가중 부채가 없는 가구는 18·6%였으며 2백만원미만이 16·9%, 2백만~4백만원이14·1%, 4백만~6백만원이 10·4%, 1천만~2천만원이 15·8% 등이었고 3천만원이상이 6·8%로 조사됐다.
농가당 가계비는 1천3백33만4천원으로 전년에 비해 9·3% 증가, 증가세가 전년의 21·5%에 비해 크게 둔화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