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선거를 맞아 약사회를 비롯한 각종 이익·사회단체들이 광역자치단체장과 기초단체장 후보 초청 대담·토론회를 잇따라 요청하고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공약에 반영해줄 것을 요구하는 새로운 선거문화양상이 나타나고 있다.이러한 현상에 대해 다각적 후보검증 및 토론문화정착이란 긍정적 평가가 있는가 하면 특정이익집단의 집단이기주의 표출과 선거풍토 혼란이란 부정적 측면이 동시에 지적받고 있다.대구시장 후보의 경우최근 대구약사회와 대구여성회가 각 후보앞으로 공문을 보내 대담 및 토론회에 참석해 줄 것을 요청했으며, 시장상인연합회 YMCA경실련 등 이익단체와 사회단체들이 이같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대구약사회는 오는 16일 약사회관 2층에서 약사회 간부 3백50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구시장 후보 4명을 초청, 한·약분쟁을 포함한 약업체계, 보건복지정책등을 놓고 대담을 벌이겠다고 각 후보에게 초청장을 보냈다.또 대구지역 7개 사회복지단체의 모임(대구지역사회복지연대회의)은 사회복지관련예산 20% 확보를 비롯한 자신들의 사회복지정책안을 각 후보들이 공약으로 채택해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지난 3일에는안동향우신문사가 주최하고 재경안동향우회와 재경안동영가회가 공동후원한 '안동시장후보 초청토론회'가 서울프레스센터에서 열렸었다.이같은 이익단체 또는사회단체의 후보초청 토론회는 유권자의 올바른 선택기회 확장이란 긍정적 측면을 가지면서도 '집단의 표'를 담보로 한 후보자에대한 사실상 강요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각 후보진영은 "한표가 아쉬운 후보 입장에서 이들의 요구를 거절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빡빡한 일정에서 일일이 응하기고 어려운 난감한 처지"라고말했다.
대구시장 선거에 나서는 한 후보는 "약사회가 보내온 예상 질의를 보니 시장입장에서 답변할 수 없는 국가정책적 내용이 대부분이다"며 곤혹스러워했다.또 다른 후보는 "아무리 다원화된 사회라하지만 선거문화가 제대로 정착되지않은 상태에서 이같은 토론회 요청 봇물은 오히려 바람직한 선거풍토 조성에걸림돌이 될까 걱정"이라 말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모처럼 살아난 토론문화 정착을 위해 여기저기에서 후보들을 마구 부를게 아니라 언론사의 합동토론회나 사회 시민단체의 공동 토론회개최 같은 방식의 대안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