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장.지사후보 공약진단

◇이의근 후보(민자당)

가, 지역균형개발

'빅 2000'과 '21세기 위대한 경북건설'의 캐치프레이즈가 2백50만 도민의 꿈과 현실을 수용하는 상징으로 모자란다.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네 개의 권역설정과 권역별 개발, 우물 정(정)자형 개발축과 바둑판형 도로망 구상은 이미 합의 형성된 개발구상으로 구체적인 실천방안 제시가 부족하다.나, 농업정책

이의근후보의 농업관련 공약 가운데 '인재 양성'및 '첨단농장 임대제도'는사람부터 키운다는 것으로 바람직한 구상이다. 그러나 전문 농업경영인 육성등으로 나타나고 있는 이후보의 공약은 소수 능력있는 농민들에게 혜택이 집중될 우려가 있다.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농업창업지원센터' 설립도 돋보이는새로운 발상이나 상당부분 이미 경북도가 시행하고 있는 내용이다.다, 지역경제 활성화정책

이의근후보는 경북에 대한 비전은 가장 크면서도 엄청난 재정지출계획은 균형예산 등식과 멀리 떨어져있다.모든 비전을 제시하기 보다 경북발전에 시급한 정책대안에 대한 집행의지가 있어야 한다. 포항컨테이너항 등 큰 개발계획이 많고 개발재원으로 민자유치를 적극 제시하고 있으나 민자유치가 될만큼 수익성이 있을지 의문이다. 따라서 수익성이 낮은데도 불구 타시도와 유치경쟁을벌이다 보면 과도한 특혜및 갖가지 이권개입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공약중에서도 도립오케스트라단을 창립하겠다는 의지는 산뜻한 느낌을 준다.◇박준홍후보

(자민련)

가, 지역균형개발

박후보는 21세기 경북에 대한 비전제시가 없는 것이 특색이다. 7개의 공약을내걸고 있으나 도지사 재임3년내에 할 수 있는 공약도 눈에 띄지 않는다. 국가사업과 지방사업의 구분이 없고 광역과 기초자치단체가 해야할 사업의 구분도없다. 제시한 공약을 어떤 절차로 실천할 것인가가 엄밀하게 검증된 정책대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나, 농업정책

박후보는 지역 농업을 위한 한마디의 공약도 내세우지 않고있다. 도로를 건설하고 공장만 지으면 모든 것이 끝난다는 위험한 발상은 아닌지 의심스럽다.다,지역경제 활성화정책

박준홍후보의 공약은 간단 명료하여 공약의 세부 실천방안이나 실천의지의깊이를 가늠하기 힘들다. 박후보의 지역사회간접자본에 대한 투자계획은 다른후보가 따라갈 수 없을 정도로 크다. 김천~구미및 경주~포항 사이의 고속전철건설, 경주~포항의 관광모노레일,포항~울진사이의 동해안 철도건설 등이다. 이와 함께 북부권 발전을 위해서도 공약을 제시하고 있으나 재정확보가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판석후보(무소속)

가,지역균형개발

이판석후보 역시 '제2의 새마을 운동'을 캐치프레이즈로 내걸고 있으나 이의근후보와 마찬가지로 상징성이 부족하다.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북부지역-포항권,경산권,구미권을 연결하는 원형개발전략은 이의근후보의 권역별 균형개발전략과 유사하다. 공약에서 제시하고 있는 권역별·부문별 개발사업에서 도와 기초자치단체간의 역할분담이 되지않고있다. 실천성 있는 공약이 되기 위해서는개발사업별·개발주체별·개발재원별로 입체화된 공약 제시가 필요하다.나,농업정책

이판석후보는 농어업 분야의 집중육성을 3대공약의 하나로 제시하고 있다.특히 경북 북부권의 경우 애그로폴리스(Agropolis)란 개념을 내세워 관광산업과 연계된 적극적인 농업전략을 펼친다는 구상을 비롯 많은 부분을 농촌살리기에 할애하고 있다. 그러나 이후보 농업공약의 가장 큰 문제점은 어떻게 자금을마련해 이 사업을 펼칠 것인지에대해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는 것이다. 또 농업경쟁력 제고만으로 농업문제를모두 해결하겠다는 접근 방식은 이미 설득력을 잃은지 오래다.

다,지역경제 활성화정책

이판석후보의 경북발전계획은 다소 독창적이기는 하나 비전제시가 적다. 경북북부지역 개발과 관련 다른 산업지역과 도로망으로 연계, 발전시키겠다고 공약하고 있으나 북부지역은 발전을 위한 자체 경제에너지가 없다. 더욱이 고속도로망으로 인해 급속한 상권의 상실을 가져와 상대적으로 더욱 낙후될 가능성도 있는 지역이므로 강력한 재정공급및 발전공약을 제시해야할 것이다.이판석후보의 재정지출계획은 상당히 조절돼있으나 재정확보와는 동떨어져있다. 이후보 역시 다른후보처럼 교육공급 확대안을 주장하고 있지만 앞으로학생수가 점점 줄어든다는 것을 감안,소수정예 지원이 보다 효율적이라는 점을고려해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