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기업 지방화사업 일단관망

4대 지방선거의 결과가 지역할거주의 양상으로 판가름나자 대기업들은 앞으로의 지방화사업 추진방향의 가닥을 잡기 위해 부산하다.각 그룹들은 앞으로 중앙정부와 야당이 집권한 일부 지방자치단체간의 팽팽한 세력대결의 양상이 벌어질 수 있는데다 새로 선출된 단체장과 지방의회의 성향을 파악하는데는 최소한 6개월 정도가 걸릴 것으로 보고 당분간 관망세가 필요하다는 입장.재계에 따르면 대기업들은 앞으로 중앙정부의 '조정기능'이 상대적으로위축되고 지자체의 '의욕'이 앞서는 상황과 함께 중앙-지방의 손발이 맞지않는 과도기적인 혼란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삼성그룹관계자는 이번 선거로 정치권이 어수선해져 기업활동에 좋지 않은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우려하면서 특히 지자제 시행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장이 소속정당이 다를 경우, 예컨대 중앙정부에서는 승인된 사업이 지방차원에서 거부되거나 지연될 경우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기업이 추진하는 사업 10건중에 1건만 이런 사례가 생겨도 기업으로서는 결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면서 앞으로 신규 지방투자사업에 보다 신중을 기할 것임을 시사했다.

현대측의 관계자도 "상황이 달라진 것은 없으며 그동안 발표했거나 계획중인 지방투자사업은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면서 다만 신규사업 발표는지자체 활동이 본궤도에 오른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모 그룹 관계자는 "당선자들의 성향이 행정실무와 경제현안에 밝은 인물들이라기 보다는 정치성이 다소 강한 편인데다 공약의 내용들도 추상적인 느낌"이라면서전력.용수.공단조성 등 지금까지 기업이 지방투자에 애로를 겪어온 부문에 관련한 선명한 청사진이 없다는 점이 기업의 입장에서는 실망스러운 점이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세일즈맨을 자처하는 지자체의 수장이 경쟁적으로 투자유인책을 마련할 것으로 보이지만 준조세와 환경부담금의 가중, 현지인의 의무채용등 비용상승의 불안한 요인도 상존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우려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