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자당의 원내총무 경선제폐지는 집권후반기를 맞는 김영삼대통령의 정국운영구상의 한 단면을 유추할 수 있는 잣대가 되고있다. 또한 민자당 총재인김대통령이 당에 대한 장악력을 확장, 직할체제구축을 뒷받침하는 한편 복잡한 당내사정을 고려한 것으로 볼 수있다.이는 또한 집권초반 내건 당내 민주화와 당의 개혁, 경선확대가 지방선거패배이후의 현실정치에 밀려 퇴색되는 의미를 동시에 갖는다.민자당은 16일 김윤환사무총장주재로 전국위원회 준비위 2차회의를 열어 "당내민주화를 위해 도입한 원내총무 경선제가 의원들의 소극적 참여등 현재의 정치여건상 실효를 거두기 힘들다"는 명분을 내세워 폐지키로 했다. 이날회의에서 일부참석자들이 당운영의 민주화에 배치된다며 총무임명제에 반대하기도 했으나 소수의견에 그쳤다. 김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볼수있다.
민자당은 지난 2월 개정된 당헌 당규에 따라 의원총회에서 대통령이 지명하는 2인에 대해 원내총무를 경선하는 제한경선제를 도입했다. 현경대총무는김영구정무장관과 함께 경선후보로 지명됐으나 김장관이 후보를 사퇴,집권여당사상 처음으로 도입된경선제는 제도만 도입됐을 뿐 실제경선은 이뤄지지못했다.
민자당이 총무경선제를 한번도 운영하지못하고 폐지키로 한 것은 실효성이없는 제도를 고집하는 것보다 여야관계를 책임질 총무를 직접 지명하는 것이당을 확고하게 장악하는데 더 낫다는 현실정치의 논리가 앞선 때문으로도 풀이되고있다.
이는 결국 체제개편을 앞두고 있는 복잡한 당내사정과도 무관하지않다. 임기 1년이 보장된 경선원내총무의 존재는 당3역의 전면개편을 통한 면모쇄신을 꾀하고있는 김대통령의 정국운영구상에 걸림돌이 되었다는 지적도 설득력이 있다. 경선제가 폐지되면 김대통령의 '당직개편의 재량권'이 확대되는 효과가 생긴다. 현재까지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고있는 민정계대표-민주계총장구도나 민정계대표-민정계총장구도 모두의 경우 원내총무는 인사의 여유를보장하는 카드라고 할 수 있다. 현재와 같이 당3역에 민주계인사가 포함돼있지않아 당운영에 민주계가 소외돼있다는 불만을 해소시킬수 있는 주요당직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 당의 한 관계자는 "대표와 당 3역이 한 팀으로 책임지고 일할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 제한경선제 폐지의 취지"라고 설명하고있다.이에따라 지난 2월 선출된 현총무의 교체여부도 관심거리로 떠오르고있으나 원내총무경선제를 폐지한 당지도부의 의중은 현총무의 경질가능성에 무게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결국 민자당의 총무경선제폐지는 도입당시 김대통령이 내건 집권당의 체질개선과 '당내 민주화'의 진일보라는 거창한 명분과는 달리 뒤숭숭한 민자당내 사정을반영한 하나의 지표로 볼 수있다. 또한 당직개편의 방향과 김대통령의 의중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