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위천공단 세워야한다-정부의 과감한 행정투자 절실

낙동강유역에 공단을조성하는 문제에 대해 부산·경남지역에서 보이고있는 반응은 맹목적이라 할 만큼 간단하다.지금도 식수원인 낙동강물이 더러운데 공장을 더지으면 안된다는 거다. 부산지역 일부언론에서는 이를두고 '우물에다 독을 타는격'이란 표현까지 동원해 반대하느라 바쁘다.

삼성자동차 부산유치등 부산 장기발전의 기본틀을 짰다는 평을 듣는 부산발전연구원은 '낙동강중상류지역은 상수도보호구역에 해당한다'며 신규공단조성금지는 물론 현재 가동중인 공장도 수계 바깥으로 이전해야한다고 강변하고 있다.

한마디로 대구·경북에 산업을 육성하는 것은 낙동강물을 오염시키는 원인자가 되므로 포기하라는 것이나 다름없다.

상황이 이에 이르자 대구에서도 발끈하고 나섰다.

'대구에서 오염물질을 배출 하지 말라면서 삼성자동차공장은 왜 뺏아갔나''부산의 하수처리율이 30%정도(대구의 절반)에 불과, 남해안을 오염시키고있는데 바다는 부산시민들 소유냐'는등의 반격을 쏟아내고 있다.심지어 '낙동강 살리기에는 물을 얻어마시는 부산보다 대구·경북사람들이더 관심이 많다'며 '부산을 위해 대구가 죽으라는 말이냐'는 다소 감정섞인반응까지 나오고 있는 판이다.

이같은 대구-부산의 대립은 지금껏 수면하에서 들끓었을 뿐 표면화하지는않았다. 고작해야 환경운동단체가 대구를 항의방문하는 정도였다.그러나 부산시의회가 5일 공단조성반대 대정부건의문을 채택하고 토론회,결의대회, 서명운동등을 전개해 반대운동을 본격화함으로써 낙동강 남북갈등(부산-대구의 갈등)이 심화될 조짐이다.

대구에서도 위천공단조성을 위한 범시민운동등 반작용의 움직임이 보이는것은 당연지사. 삼성승용차 유치를 싸고 부산-대구가 범시민운동으로 맞대결했던 때와 비슷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 1일 부산시의회가 공단조성실태조사차 대구에 왔을때에도 대구시는부시장이 영접을 나가는등 이성적 설득을 위해 성의를 보였으나 결국 감정대결로 치달았다.

대구시와 대구시의회의 '함께낙동강을 살리자'는 호소에 부산시의회가"BOD 10 ┸이하로 낮춰도 공단건설은 안된다"며 시큰둥해하자 대구시는 "부산의 하구언댐을 부수고신호공단과 가덕도 매립공사를 중단하면 대구도 공단조성을 하지않겠다"는 직격탄을 쏘았다.

이처럼 낙동강수계분쟁은 악화되고 있지만 수계분쟁 자체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타협점 도출을 낙관하는 시각도 상당하다.

낙동강 수계싸움이 어떤 부작용을 낳든 정부의 낙동강살리기에 대한 관심제고의 계기가 될 것이란 기대가 그것이다. 이들 낙관론자들은 또 대구의 경제와 부산의 식수원이란 두마리 토끼를 잡는 일은 낙동강 환경개선을 위한정부의 전폭적 투자가 있어야 가능하므로 대구-부산은 대립보다 단결을 선택할 것으로 내다보기도 한다.

경제와 환경이 양립할 수 있다는 실낱같은 희망은 강오염의 주범이 공장이아니라 생활하수란 점에 근거하고 있다. 낙동강 오염의 60~70%는 생활하수에의한 것으로 공장폐수는 15%를 차지할 뿐이라는 것을 부산지역에서도 알고있어 정부의 전폭적 환경투자가 대구의 위천공단 조성포기보다 더 중요하다는데에는 한뜻인 것이다.

대구상의 한 관계자는 "위천국가공단조성은 대구로선 너무도 절실한 사안이므로 조성할 수있을 것"이라 낙관하고 "문제는 대구-부산이 정부의 환경투자를 이끌어 내는 방안"이라 지적했다.

부산환경운동연합 구자상사무국장도 " 위천공단과 부산의 식수를 양립시키는 길이 있다"며 " 핵심은 정부가 낙동강 살리기에 대한 명쾌한 의지를 보이는 것"이라 주장했다.

결국 낙동강수계싸움은 당사자인 대구-부산의 노력만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며 정부가 대구의 경제와 낙동강을 함께 살리는 일에 애정을 갖고 중재에나서야 매듭을 풀 수있다는 얘기다.

낙동강수계 분쟁을 적당한 타협으로 해결할게 아니라 정부·대구·부산이힘을 합쳐 정면돌파하면 더 나은 길도 찾을 수있다는 것을 공동인식할 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