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시대의 개막은 지역경제계에 엄청난 지각변동을 일으켰다.먼저 지역경제문제를 중앙정부에 의존하여 해결할수있는 길이 거의 막혀버렸다. WTO체제등으로 가뜩이나 정부의 지원정책이 줄어들고있는 마당에 지자제 실시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자체 해결능력'을 앞당겨 요구하게 된 것이다. 지역경제의 체질개선은 물론 재편작업이 서둘러 진행되면서 적자생존을위해서는 경쟁력을 높여야한다는 사실이 당장 눈앞의 과제로 떨어졌다.지방자치단체의 위상이 갑자기 높아지고 지역경제 회생을 위한 지방정부의노력이 배가된 것도 이때문이다. 올해 대구광역시 지방정부가 가장 고민한부문은 주종산업인 섬유를 살리면서 지역경제를 어떻게 기계 자동차업종으로구조개편 해나가느냐는 것이었다.중앙정부로부터 약화된 자금줄의 보완책으로 지역연고 대기업을 지역경제권역으로 끌어들이는데 총력을 쏟았다. 성서공단의 삼성상용차 공장 착공에이어 지난달20일 기공식을 가진 달성 구지공단의 쌍용 자동차공장 성서-구지를 연결하는 자동차산업벨트 조성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청신호였다.이밖에 지방정부가 주도하고있는 사업이 부쩍 많아졌다. 신용보증조합, 지역증권회사, 중소기업전용 상설판매장, 중소기업 종합지원센터 설립등 어느것 하나도 소홀히 할수없는 것들이다. 게다가 처음으로 지방정부차원의 해외시장개척단을 파견, 지역경제를 해외에 알리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문제는 이같은 경제하부구조를 조성하기위한 자금이다. 대기업과 연계된개발전략에도 한계가 있다. 그래서 대구시는 일단 금리가 싼 외자를 도입하기로 계획하고 있으나 중앙정부와의 마찰등으로 현재로선 실현성이 불투명하다.
지방정부는 지역경제 회생을 지상의 목표로 삼고있다. 대구시는 앞으로 10년간 6조2천여억원을 투입, 대구의 산업기반을 바꾸어 놓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워놓고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금을 얼마나 효율적인 방법으로 조달하느냐가 바로 지방정부가 안고있는 숙제이다.
〈윤주태기자〉
댓글 많은 뉴스
한동훈 이틀 연속 '소신 정치' 선언에…여당 중진들 '무모한 관종정치'
국가 위기에도 정쟁 골몰하는 野 대표, 한술 더뜨는 與 대표
비수도권 강타한 대출 규제…서울·수도권 집값 오를 동안 비수도권은 하락
[매일칼럼] 한동훈 방식은 필패한다
"김건희 특검법, 대통령 거부로 재표결 시 이탈표 더 늘 것" 박주민이 내다본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