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총선 선거구 조정따라 엇갈린 이해

국회의원 선거구조정과 관련,與野가 인구 상.하한선을 30만~7만5천명으로 의견을 거의 접근, 해당지역 출마예상자가 비상에 걸렸다.

이들 지역을 어떻게 조정하느냐에 따라 각당의 유.불리가 서로 바뀌고 의원의

정치생명까지 좌우되기 때문에 해당지역의 현역의원은 물론,원외지구당위원장까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또 인구기준일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다소 해당 지역 숫자가 달라진다. 그러

나 경북지역의 경우 인구기준일과 상관없이 현재 인구7만의 예천군과 7만1천명의 울진군이 하한선에 미달,독립선거구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최소한 1개 내지 2개 선거구가 없어지고 지역구의석수도 줄게 된다.

선거구 조정시 인지도가 높은 현역의원은 유리한 반면 인지도가 떨어지는 신인들에게는 절대 불리하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반면에 무소속 후보중에는똑

같은 조건의 통합된 지역에서 선거운동을 하는 입장에서는 오히려 바람을 일으킬 수 있는 여지가 많아 한번 해볼만 한 싸움이라는 인식도 갖고 있다.

그래도 통합대상지역의 모든 후보자들에게 불안하기는 마찬가지. 노력과 경비

가 그만큼 더 드는 등 여건이 더욱 어렵다는 불평이다.

與野간 예천이 문경시와 합쳐지는데는 이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예천과 문경시가 합쳐지는데 대해 선거구조정관계로 공천이 유보되고 있는 예천의 潘亨植의원측은 토박이뿐인 예천에 비해 문경은 인구 9만5천명중 예천출신이 2만5천명이고 외지인이 많기 때문에 공천만 확정되면 한번 싸움을 붙어볼 만하다는 입장이다.

반면에 통합후의 공천이 유력시되고 있는 문경의 李昇茂의원은 예천과 합쳐질경우를 대비해 자료를 종합중이다. 유권자수가 1만6천명이나 많은 문경출신이

그래도 유리하지 않겠느냐 며 예천과 합쳐지는 것을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고보고 대비책을 준비하고 있다.

신한국당 공천을 노리면서 무소속출마도 고려중인 呂鉉德여의도연구소 연구원은 서로 상대방 지역구에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신진 출마시 바람을일으키기는 더욱 좋은 여건 이라며 오히려 유리하게 판단하고 있다.

울진의 경우는 아주 복잡하다. 울진군은 현재 울진과 영덕을 붙이는 안과 울진

과 울릉을 합치는 안,울진과 영양.봉화를 합치는 안 등 3개안이 검토되고 있는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金光元신한국당지구당위원장은 후포항과 배편으로 서로 교류가 쉽고 거리도가까운 인구수 1만1천명의 울릉이 울진과 한 선거구가 되면 가장 편하다 면서도 중선거구였던 11.12대 당시 울진과 영덕이 한 선거구였던 점을 상기하면서

가능성에 대해 불안해 하고 있다.

또한 울진과 울릉을 통합시키는 방안에 대해서는 울릉도 주민의 반발도 만만찮다. 울릉이 전통적으로 포항생활권이기 때문에 주민들은 극력 반대하고 있다.이와 관련 23일 울릉군의회 의원들이 신한국당을 방문,姜三載총재에게 반대한다는 뜻을 밝히기도 해 조정이 여의치 않다.

13대때 포항남과 울릉을 한지역구로 묶었을 때도 게리맨더링이라는 비판이 없지 않았지만 이 경우도 게리맨더링의 재판(再版)이라는 지적이 있다.

현재로서는 울진이 영덕과 통합되는 방안이 설득력 있게 제시되고 있다. 울진

이 영덕과 합쳐지면 자연히 청송은 영양.봉화와 통합돼야 한다. 이 경우 지명도가 높은 후보자가 절대 유리하게 된다. 청송.영덕.울진군이 한 선거구였던11.12

대때 의원을 지낸 金重權전의원은 상대적으로 유리한 입장이다. 또 11대때이

선거구에서 당선됐던 金燦于의원도 옛 조직이 상당수 남아있어 그렇게 불만스럽지 않다는 입장이다.

청송.영덕출마예정자인 자민련의 金顯東산해발전연구소장은 영덕+울진의 경우

남북 길이만 3백㎞나 되며 봉화+영양+청송도 남북 길이가 너무 길어 불합리하다 고 주장했다. 金소장은 그러나 어떻게 조정되든 나쁠 것은 없다. 힘은 들더라도 젊은 신진인사에게는 경력과 참신성을 내세우면 싸워 볼 만하다 고 말했다.

청송은 영양권과 가까워 청송과 영양.봉화 통합은 큰 무리가 없다는 것이 현지

지역정가의 관측이다.

한편, 일부에서는 영양.봉화와 울진을 합치는 방안도 나오고 있으나 현지에서는

지역간 생활권이 전혀 달라 현실성이 없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洪錫峰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