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2-장애인 보호,남의 일 아니다

20일은 16번째 맞는 장애인의 날. 해마다 이날이 되면 장애인을 위한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지지만 모두가 일과성일뿐 사회인식은 예나 지금이나 제자리걸음이다. 이들 행사도 일부기관이나 해당단체에 의해 행해져 형식적일뿐 사회전체의 동참이 없이 일과성에 그친다. 정부의 장애인복지정책이나 편의시설도 마찬가지다. 이렇고서야 삶의 질 을 운위하는 복지국가건설은 아직도 그림의 떡이다.

우리도 이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달라져야 한다. 우리나라는 선천성과 산업재해 교통사고등으로 인한 후천적 장애인을 포함 1백만명이 넘고있다. 이들은 몸이 불편할뿐아니라 사회적 냉대속에 생을 살아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장애인 복지정책의 미비로 문밖에만 나서면 각종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길을 가도 장애인을 위한 안전시설이 전무하며 학교, 병원, 사무실, 공원등 어느 한군데도 안전한 곳이 없다. 장애인을 위한 교육 고용에 대한 법이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없는것과 같다. 따라서 장애인의 날을 맞아 우리들은 장애인을 위한 제도와 법률을 논의하기전에 우선 행동으로 장애인을 따뜻하게 돌보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첫째로 장애인들은 경제적 어려움이 정상인보다 크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교통비 의료비 생활비가 정상인들보다 더 든다. 그러나 장애인 취업관련 법규정에도 불구, 취업은 어려우며 국가적인배려가 부족해 생계가 곤란하다. 어려운 환경속에 제대로 살아가기가 어려운 것이다.둘째로 사회적인 특수한 편견속에 살아가고 있다. 학교입학에서부터 취업에 이르기까지 일반인들의 편견때문에 어려움을 겪고있다. 장애인복지시설은 혐오시설로 취급, 이를 설치하려면 주민들의반대가 극심하다.

장애인보호를 위해서는 장애인들의 경제력향상과 사회적 편견을 없애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길이다. 이와함께 정부의 장애인 복지시설이 갖춰지면 더욱 좋다. 장애인의 경제력향상은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지만 사회적 편견을 없애는데는 국민각자의 인식의 전환이 선행돼야 한다. 우리들은 직계가족이 아니더라도 친척중에 장애인이 없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장애인이 선천적이든 후천적이든 모두들 이웃이라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 장애인중 88%가 산업재해 교통사고 안전사고등에 의한 것이고 보면 우리모두가 잠재적인 장애인일수 있다. 자신이 언제 어떤 사고로 장애인이 될지 모르는 상황을 생각하면 장애인의 고통은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장애인의 날을 맞아 각종행사를 벌이는 것도 좋은 일이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정부의 정책과 우리모두의 의식전환이 필요한 것이다. 남의 불행이 언제 나의 불행으로 뒤바뀔지 모르는 오늘의 급박한 상황에서 모두들 장애인들이 나의 이웃이며 나의 불행을 대신한다는 생각만 가지면 더불어사는 사회가 될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