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문화재 조작 '터질게 더졌다'

"문화재 둘러싼 '진위논란'끊임없이 이어져"거북선총통이 조작된 사건을 계기로 각종 국가지정문화재에 가짜가 섞여있다는 주장이 터져나오자 관계자들은 터질게 터졌다 고 입을 모은다.

그동안 문화재를 둘러싼 진위논란은 끊임없이 이어졌다.

가짜 논쟁에 휘말린 문화재는 국보만해도 고산구곡시화병 (국보 제237호) 귀면청동로 (국보 제145호) 기마인물형토기 (국보 제275호) 백자진사매병국문 (국보 제168호) 등이다.이양선박사(87)가 수집, 국립경주박물관에 일괄 기증한 유물에 포함됐던 기마인물형토기는 가짜설도 나왔으나 이 토기의 도굴업자가 문화재보호법 위반혐의로 구속돼 진짜로 밝혀지기도 했었다.가짜논쟁과는 다르지만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전시중인 국보 제287호 백제금동대향로에 대해 골동상들은 중국향로가 아니냐는 시각을 갖는 반면, 전문가들은 문양이나 주악상의 묶음머리, 향로내의 구멍뚫은 수법등을 들어 백제 능산리절터 공방에서 발굴된 백제향로라는 단호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경주 왕릉의 피장자가 잘못 알려진 게 많다는 주장도 있으나 이를 공론화하여 재검증하는 절차가 이뤄지지 않았다.

일단 문화재로 지정되면 진위논란이 일거나 시비에 휘말려도 재검토 취소는 거의 불가능한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문화재를 지정하는데도 로비가 통한다 국보 도록에 올라 있는 것중 엉터리가 한두개인가 라는식의 얘기는 공공연한 소문이었으나 이제는 사실이 돼버렸다.

국가지정문화재라도 개인소유일 경우 매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지정전과 지정후의 금전적 가치는큰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개인소장가들은 소유유물을 문화재로 지정받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이 과정에서 금품수수나 비리 소문이 새어나온다. 실제 모 문화재위원은 심의과정에서 상인들과결탁한 사실이 드러나 위원직을 박탈당했고 심의대상에 올랐던 골동품은 바로 지정신청이 취소되었다.

국보지정과정은 크게 문화재전문위원 조사-소위원회 심의-분과위원회 의결등 3단계로 나눠진다.하지만 이런 절차조차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번에 문제가 된 거북선총통을 국보로 의결하던 날도 분과위원회는 딴 안건으로 소집됐으나 긴급안건으로 문제의 총통을 심의했다. 위원들도전문분야가 아니면 대개 미리 안건을 조사한 전문위원의 의견을 따르고 있으며 안면때문에 반대하기가 어렵다고 알려져있다.

이권이 개입될 소지가 다분한데다, 유물에 대한 평가가 객관적이고 공정해야하는 국보지정작업이 비공개적으로 몇사람에 의해 좌우돼서는 안된다 는 대구대 李明植교수(박물관장)는 분과위원회 소집당일 자료를 배포해서 지정여부를 결정짓는 현행 제도를 지정예고제 로 바꾸고 국보지정은 분과위원회가 아닌 중앙 문화재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결정해야한다고 주장한다. 문화재 지정을 분야별로 세분하고 해당 분야 전문가를 다수 참여시켜 공개적이고 과학적으로 결정해야한다 는 金兌庭교수(돈보스꼬예술학교)는 전문지식을 갖고도 숨어있는 具眼之士까지 포함한 문화재위원회에서 6개월 이상 시간적인 여유를 갖고 완벽하게 검토해야 문화재를 둘러싼 진위논란을 막을 수 있을것 이라고 내다본다.

李교수는 문화재파동을 그냥 덮으면 이런 현상이 되풀이될 것 이라며 문제가 된 문화재를 공개토론회에 회부, 진위여부를 가리고 국립중앙박물관과 문화재관리국으로 이원화된 현행 문화재행정을 일원화하여 문화재행정의 위상을 높여야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崔美和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