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院구성전 당적변경 의원 상실토록'
○…총선이후 신한국당의 인위적 여대야소 만들기가 정국경색의 직접적 원인
이 된 것과 관련, 1일 야권3당의 초재선의원 25명이 원구성전 당적을 변경할
경우 의원직을 상실토록 한다 는 내용의 법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해 눈길.
이 움직임을 주도한 국민회의 金槿泰부총재는 정당선택권을 제한한다는 지적도 있지만 현행 선거법에서도 전국구의원에 대해서는 당선 당시의 당적변경을금지하고 있는 만큼 형평성에서도 문제가 없다 며 신한국당의 수도권출신 의원들도 서명에 동참하지는 않았지만 입법취지에는 찬성의견을 나타냈다 고 귀띔.
신한국당에서도 李萬燮전국회의장과 李漢東전부의장 姜聲才의원이 같은 의견을제출한 바 있는 한편 이날 제출된 개정안에는 국민회의 18명을 비롯, 자민련 4명 민주당 3명이 서명했고 지역에서는 安澤秀(자민련) 權五乙(민주)의원등이 가세.
낙선중진 開院협상 강경론 주도
○…파행정국의 타결이 눈앞에 닥친 것 같던 1일 실마리를 쥐고 있던 국민회의는 간부회의가 끝나자 갑자기 강경론으로 선회, 협상타결의 전망을 어둡게 했는데 이는 낙선 한 중진들의 반발이 작용한 때문이라는 분석.
포스트DJ 를 노리는 중진들 가운데 유일한 당선자인 金相賢지도위의장이 최근무조건등원을 주장한 반면, 李鍾贊 鄭大哲 趙世衡부총재와 朴智元기조실장 등은이날 개원이 정기국회까지 늦어지더라도 검경이라는 표현이 들어가지 않으면지금까지 싸운 의미가 없다 며 강경론을 주도했다는 것.
이와 관련 국민회의 내부에서는 이들 낙선 4인방은 한결같이 여당의 신인에게일격을 당한 것을 부정선거 때문으로 보는 것 같다 면서도 이들이 당선됐다면과연 이처럼 강경일변도의 자세를 유지했을까는 의문 이라고 의미있는 지적.
무소속 迎入 관행상 예측됐던 일
○…신한국당 李洪九대표는 1일 차기 대권문제에 대해 대통령직은 엄청난 직책 이라며 그 직책을 맡을 것인가를 생각하는 것조차 대단히 어렵기 때문에섣부른 결정을 할 수가 없고 나 역시 결정한 바 없다 고 즉답을 회피.
李대표는 이날 저녁 고대 인촌기념관에서 열린 고대 언론대학원 특강에서 참석자들의 질문에 이같이 답하고 무소속 당선자 영입과 관련, 다수당으로서 책임있는 정치를 하려는 것으로 당연한 일 이라고 강력한 어조로 여권의 입장을 옹호.
李대표는 이어 책임정치하에서 다수를 만드는 것은 나름대로 논리가 있는 일이라고 부연하면서 정치학자적 견지에서 볼 때 이는 한국정치의 관행상 이미충분히 예측됐던 일로 놀랄 일이 아니다 고 주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