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천국가공단지정문제가 15대 첫국회부터 대구경북지역과 부산경남지역의원들사이에 치열한 격돌쟁점으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벌써부터 양지역의원들은 대정부질의나 상임위활동을 통해 이문제를 본격 거론하며 국가공단지정과 반대라는팽팽한 대결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지역의원으로는 李海鳳의원이 최초로 20일 대정부질의를 통해 위천국가공단지정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것을시발로 포문을 연다. 이날 李의원은 현정부의 국정난맥상을 제기하면서 위천국가공단문제를 끄집어낼 작정이다.
그는 부산경남지역의 환경오염우려에 대해 국가공단안에 인근지역의 오폐수업체들을 결집시킴으로써 오히려 효율적인 관리를 할수 있다 는 점을 지적할 예정이다.
그는 특히 위천국가공단지정같은 문제는 정부가 경제적인 차원에서 적극 논의되고 대책이 마련되어져야하는데도 정치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는 비판을 가할 생각이다. 또 이문제로 정부가 갈팡질팡 혼선을 빚는 바람에 지역여론의 악화를 초래한 점도 부각시키기로 했다. 사실 지역일각에서는 너무 늦게 발표하면 오히려 집권여당의 표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李의원이외에도 신한국당과 자민련의원들도 단단히 벼르고 있는 상태다. 위천국가공단지정문제를다루는 건설교통위의 徐勳의원과 白承弘의원도 이를 집중적으로 물고늘어지기로 했으며 자민련도당차원에서 이를 적극 거론키로 했다.
이와반대로 부산지역의원들도 대정부질의나 상임위를 통해 위천국가공단지정은 획기적인 낙동강수질개선대책없이는 결코 허용되어서는 안된다는 강경입장으로 맞받아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전해졌다.
한편 이번 국회를 통해 대구경북지역의원들과 부산경남지역의원들이 설전을 벌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측의 답변 또한 관심거리다. 최근까지 秋敬錫건설교통부장관과 鄭宗澤환경부장관이 조건부허용 이란 다소 애매한 말로 두루뭉실하게 넘어온 게 사실이다. 현재까지 정치권의 분위기는 위천국가공단지정문제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이라는게 대체적인 판단이다.우선 李相得정책위의장도 조만간 위천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은 별로 없다 면서 우선 부산경남지역 사람들을 안심시킬 수 있는 정부차원의 낙동강수질대책이 급선무 라고 말했다.그동안 여권핵심부와 끈을 대며 이 문제를 끌고 왔던 姜在涉의원도 최근 위천국가공단지정문제가 연내 해결될 가능성은 반반 이라며 자신감을 내보이지 못하고있다.
이런 가운데 부산경남지역의 실력자들인 姜三載사무총장과 朴寬用전청와대비서실장등은 오히려한술 더떠 위천국가공단지정문제는 불허키로 여권내부에서 정리가 됐다 고 공공연히 밝히고 있을 정도다.
金泳三대통령이 텃밭인 부산경남지역의원들의 허를 찌르며 전격발표를 하지 않는다고 본다면 위천국가공단지정문제는 해결이 간단치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조금 위안이 되는 것은 李相得정책위의장이 집권여당차원에서 이 문제에 본격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金운환 신임 부산시지부장이 취임기자간담회에서 양지역을 모두 만족시키는 방안을도출해내겠다 고 공언한 대목이다. 특히 정부도 양지역의 입장을 고루 반영하는 방안에 몰두하고있는 것이다.
현재 양지역의 정치권인사들은 낙동강수질개선대책연구회 를 만들어 양지역의 이해폭을 넓힐 계획인데 아직까지는 대구지역인사들은 위천국가공단지정에,부산지역인사들은 반대를 위한 명분쌓기에 각각 노력하는 인상도 있어 향후 활동이 주목된다. 다만 최근 이 연구회가 낙동강오염조사를 외국전문회사에 다시 맡기자는 논의를 한 것으로 알려져 위천국가공단문제를 다시 원점으로돌리려는 부산측의도에 말려들어가는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는 실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