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야고부

▲기록은 깨어지기 위해 있고 승자는 패자를 위해 있다-이런 역설은 스포츠세계에선 흔하다. 워낙 심한 경쟁을 벌이므로 눈 깜짝할 사이에 선후가 바뀌고 어제의 강자가 오늘은 약자가 된다.애틀랜타 올림픽에도 초반부터 물에 뜨고 가라앉는 부침이 심하다. 그래서 영원한 강자도 없고영원한 약자도 없다고 하는가. ▲첫날 여자공기소총에서 메달을 확보하여 종합 5위의 분위기를만들려던 우리선수단의 꿈은 김정미(한체대)와 진순영선수(인천 남구청)의 예선탈락으로 물거품이됐다. 기록경기인 수영에서 남자2백m자유형 우승자로 떠오른 대니언 로드(뉴질랜드)와 여자 4백m 개인혼영 미첼 스미스(아일랜드)는 세계기록과는 멀리 있던 무명이었다. ▲사격이나 수영뿐아니라 레슬링 그레코로만형에서도 92올림픽 우승자로 2연패를 노리던 선수들이 모두 초반에 탈락하고, 우리나라 심권호(48㎏급)선수가 금메달을 목에 걸어 새 스타임을 확인했다. 이렇듯 정상은많은 도전자의 공격대상이고 시간의 흐름은 이들을 소리없이 바꾸어준다. ▲앞으로 올림픽이 끝날때까지 얼마나 많은 부침이 있을지, 그게 올림픽의 매력이다. 그러나 그것을 결코 이변 이라할수 없다. 정상을 내어주는 선수는 그

나름의 심한 강박관념에 시달리다가 순간의 집중력을 잃어버렸을수 있고, 새스타는 남이 알수없는 많은 땀을 흘리며 오래 자기자신과 외롭게 싸워온 결과가 아닐까. 스포츠세계에 정말 공짜는없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