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황강취수장'사태 진정 국면

"31일 중앙부처와 협의...백지화 기울듯"

황강취수장 건설문제가 조만간 매듭지어질 전망이다. 오는 31일 합천.거창지역주민대표와 중앙부처 관계자들이 황강취수장 건설과 관련, 함께 대책회의를 갖기로 했기 때문이다.

낙동강 페놀오염사건을 겪은 뒤 정부는 지난92년 12월 부산.경남지역 맑은 물공급대책을 발표하면서 황강취수장 건설을 제기했다. 합천댐에서 황강하류 49㎞지점인 합천군 쌍책면 오서리에 하루 1백만t의 상수원수를 생산하는 취수장을 건설한다는 것이었다. 사업비 3천3백75억원을 들여 오는 98년 완공할 계획인 이 취수장에서 90㎞의 송수관을 통해 부산.경남지역으로 황강물을 공급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정부의 발표에 대해 합천군민들은 이 지역이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묶일 경우 생업에 막대한 타격을 받게된다 며 즉각 반발했다. 합천지역 주민들은합천댐의 평균 담수량이 30~50%에 지나지 않는데다 갈수기의 하루 방류량이초당 5t에 불과하다 며 물부족 이유도 내세웠다. 또 환경단체들도 황강물을 송수관을 통해 부산.경남지역으로 공급할 경우 심각한 상태에 있는 낙동강 본류의 수질오염이 가속화돼 생태계가 파괴된다 고 지적, 취수장 건설을 반대했다.그러나 정부는 이같은 합천.거창지역 주민들의 반대에도 불구, 취수장 건설 타당성 조사를 이미 끝내고 오는 10월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었다. 이 때문에 지난9일 2천여명의 합천주민들이 농기계까지 동원, 수자원공사 합천댐관리사무소와 국도를 12시간 동안 점거하는 사태가 일어났다. 이와 관련 3명의 합천군민이 구속되는 등 합천 군민들의 취수장 건설 반대운동은 갈수록 확산됐다.

이에 김혁규 경남지사가 주민이 반대하면 취수장을 건설하지 않겠다 고 밝혔다. 그 뒤 주민들이 집단행동을 자제하면서 황강취수장 건설문제는 진정국면을맞았고 31일 주민과 중앙부처 관계자들의 연석회의가 열리게 된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