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자민련 TK[들러리 不可論]확산

"'JP론 大選가능성 희박' 인식공유"

내년대선을 앞둔 지역출신 자민련의원들이 공통적으로 끄집어내는 화두는 대구 경북이 들러리를설 수는 없지 않느냐 이다. 이 화두는 여권에서도 마찬가지다. 후보를 내지 못하는데다 정치권마저 신한국당과 자민련으로 양분돼있는 상황은 지역출신 정치인들의 선택을 더욱 어렵게 한다.TK가 내년대선에서 취할 입장은 명확하지 않다. 그것도 JP를 정점으로 한 충청권과 동거체제를이루고있는 자민련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들러리 불가 란 명제에는 공감하고 있지만 어떻게라는방법론을 풀어내기는 쉽지않은 것이다.

자민련은 내각제를 표방하고 있지만 JP와 TK가 결합한 과도정당의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당의 지도력이나 결속력의 취약점이 적잖이 노출되고있다. 충청권이 JP를 중심으로 하나로 조직화된 반면 TK는 박준규(朴浚圭)최고고문과 김복동(金復東)수석부총재, 박철언(朴哲彦)부총재등중진과 이정무(李廷武)원내총무 박구일(朴九溢) 이의익(李義翊) 안택수(安澤秀) 김종학(金鍾學) 박종근(朴鍾根)의원등이 느슨하게 결합해 있다. TK중진들끼리의 주도권다툼도 심심찮게 일어나곤한다. 한마디로 TK가 단합해 JP와 맞선다는 것부터가 불가능할 정도다. JP는 이같은 TK세의 역학관계를 적절히 이용, 이이제이(以夷制夷)방식으로 각개격파를 꾀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주고있다.

자민련이 내각제추진을 당의 당면목표로 내세우고있으나 정치권에서 내각제를 내세우고있는 정당은 자민련밖에 없다. 국민회의가 내각제를 수용한다고 해도 절대의석에는 훨씬 못미친다.그런데 DJ와 JP와의 야권후보 단일화가 불가능해지고 DJ와 JP의 독자출마가 현실화되었을 때TK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가 들러리 불가론 의 핵심이다. 이 물음에 대해 누구도 분명한 대답을 하지않는다. TK는 JP의 당선가능성이 다른 출마예상자보다 결코 높지 않다는 인식을 깔고있다. 그렇다고 자민련에 몸담고있으면서 JP를 적극 지지하지 않을 수도 없다. 선택의 기로에 서지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야권후보 단일화를 통한 지분확보가 대안으로 제시되고있다. 자민련은TK재기를 위한 교두보의 역할만 하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박철언부총재는 지금은 내각제와 야권후보 단일화에 역점을 두어야할 때 라는 말로, 박고문과 김수석부총재는 TK가 한목소리를 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며 대답을 대신한다.

그러나 이들은 내년 대선이 TK가 새로운 정치세력으로 재편될 계기가 된다는 점을 지적하고있다. JP를 지지하든 또다른 후보를 지지하든 TK가 들러리가 되지않으려면 TK의 지분을 최대한확보하는 것뿐이라는 해법에 귀가 솔깃해있는 상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