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직시설에 이어 염색가공시설의 대(對)중국투자가 잇따르고 있어 산업공동화는 물론 고부가가치화를 좌우하는 염색가공기술의 유출이 우려돼 해외진출에신중해야 된다는 지적이다.
특히 중국은 올해부터 2000년까지 섬유자급자족 정책을 수립, 내달중 날염및 염색가공관련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염색가공기술 향상에 주력하고 있어 국내염색가공시설의 현지투자가 중국섬유산업 발전에 활용될 공산이 점차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2~3년전부터 갑을, 동국무역 등 대기업들이 제직시설과 동반해 중국지역에 염색가공시설을 가동하고 있는데 이어 작년부터 염색업종에 대한 외환규제가 풀리면서 태왕, 원천, 이화 등 지역업체들의 대중국 염색가공시설 진출이 잇따를 전망이다.
더욱이 합작으로 설립된 일부 현지 염색가공업체가 노사문제 등으로 경영권을중국측에 넘기거나 가동중단상태인 것으로 알려져 국내기술과 설비의 유출이우려되고 있다.
또 중국은 지난 8월부터 레피어직기, 스토브리도비기 등을 매월 7백~8백대나 수입하고 있으며 국내업체로부터 텐터기, 염색기 등 염색가공기계를 매월 10여대씩 반입하는 등 차별화직물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국내업계를 위협하고 있다.지역섬유업계 한 관계자는 일부 업체들이 생산비절감을 위해 중국 등 해외에염색가공시설을 투자하고 있는데 이는 급속한 기술유출현상을 불러 국내섬유산업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하게 될 것 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