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동북아 심포지엄 주제발표요지-동북아 지방간 기술정보 네트워크 구축

"이용태〈한국정보산업연합회장〉"

동북아 지역간 통신망 구축문제에 앞서 먼저 해결해야 될 문제는 우선 지역내 통신망의 구축이다. 각 지역마다 그 지역내의 통신망이 구축되어 있으면 다른 나라에 있는 다른 지역과의 통신망구축문제는 쉽게 해결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가 갖고 있는 지역망의 문제점은 속도가너무 느리다는 것과 통신료가 너무 비싸다는 두가지 점에 귀착된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는 지역내에 고속정보통신망이 조속히 부설되고 또 사용료가 경제적이어야 한다.먼저 통신 선로 상의 문제를 보면 우선 현재 부설돼 있는 전화선인 동선(銅線)을 이용해서 고속통신을 하는 방법이다. ADSL의 기술을 쓰면 동선을 이용해서 6Mbps정도의 통신 속도를 낼수 있다고 한다. 물론 가장 좋은 방법은 광섬유를 부설하는 일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가능하고 경제적인 해결 방법은 CATV 선로를 조속히 구축해서 그것을 쌍방향 통신으로 활용하는 일이다.CATV통신 선로를 초고속 쌍방향 통신으로 이용하는데 큰장점은 경제성이다. CATV시청을 위해서 깔리는 CATV케이블을 통신선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부설료 추가 부담을 과다하게 지불하지 않고 고속통신 선로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통신 선로 이외에도 몇가지 문제점이 더 있다. 그 하나는 아직도 정보 통신 이용이 일상화 되어있지 않다는 점이다. 특히 중소 기업은 정보통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또 그 필요성 조차 느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 통신에 대한 시범 사업 이용 지원 정책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정보 통신을 이용한 거래 관행은 기존 질서를 근본적으로 뒤바꾸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가지 어려움을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법적, 제도적인 뒷받침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4개국의 지역들이 직접 서로 기술 정보를 교환하고 무역, 문화, 관광 등여러 분야에 걸쳐서 협력을 하는데 있어서 정보 통신의 역할은 막중하다 하겠다. 정보 통신을 이용한 협력 방안을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4개국 각각에 시범 사업 지역을 선정하고 △그 지역 내에 관광사업, 섬유산업, 정보산업등등 몇개 시범업체를 지정한다. △이들 업체들은 인터넷을 통해서 정보를 교환하고 사업의 업무연락을 시도한다. △이러한 사업을 지원하고 확대하기 위해서 지방 정부와 지역 기업이 협력 위원회를 구성하여 주기적으로 통신을 통한 회의를 개최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