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과 춘추 4개사의 여론조사 종합결과는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의 민심을 짐작케 한 것이었다.
부산·경남 1천20명(부산일보), 대전·충남북 9백12명(대전일보), 광주·전남 5백75명(광주일보),강원도 1천명(강원일보) 등 3천5백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로 지역마다의 독특한 정치정서와 기류를 엿볼 수 있었다.
표본오차는 ±3·0~3·2%%.
내각제 개헌을 주창한 정당은 자민련이지만, 자민련의 텃밭이라고 일컬어지는 대전·충남북에서그 지지도는 높지 않았다. 오히려 광주·전남에서 내각제를 대통령제보다 더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경남에선 대통령제 선호도가 48%%로 내각제 30%%보다 훨씬 높았다. 대전·충남북에서도내각제(38%%)보다 대통령제(49%%)를 더 좋아했고, 강원에선 대통령제 49%%로 내각제 25%%보다 그 격차가 훨씬 컸다.
그러나 광주·전남에선 내각제 개헌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38%%로, 필요없다 36%%보다 약간 더많아 현 권력구조에 대한 불만을 엿보게 했다.
정당 지지율은 지역분할 구도를 뚜렷이 했으나 지역주의 투표성향에 대한 거부감 역시 전국적으로 분명했다.
현 대통령을 배출한 부산·경남에서 차기 대통령이 꼭 부산·경남 출신이어야 한다는 대답은9%%에 지나지 않았다.
대전·충남북에선 지지정당 없다가 52%%로 다수를 차지한 가운데 자민련이 18%%로, 신한국당17%%-국민회의 8%%보다 많았다. 반면 대통령 선출기준으로 지연이 중요하다는 응답은 3%%를밑돌았다.
강원에선 신한국당이 37%%로, 자민련 및 국민회의 12%%보다 크게 앞섰다.
광주·전남에선 국민회의가 56%%로 신한국당 6%%를 압도적으로 앞섰다.
이 수치는 그러나 지난 대선 90%%를 웃돌던 지지율과 비교해보면 큰 변화를 보인 것이다.
부산·경남과 강원은 야권 단일화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본 반면 대전·충남북과 광주·전남은 반반으로 예상했다.
부산·경남에선 61%%가 가능성은 있지만 힘들 것이라고 대답했으며, 양 김총재로 단일화되더라도 그 지지율은 8%%대 안팎이었다. 76%%는 제3의 인물로 단일화되는 게 바람직하다고 대답했다.
강원에서도 70%%가 야권단일후보는 불가능하다고 점쳤다. 야권단일후보로는 제3의 인물이39%%로, 양 김총재 8~10%%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전·충남북에선 단일화 가능성이 47%%로, 불가능하다 30%%보다 많았으나, 제3의 인물이 유리하다는 응답 또한 49%%나 됐다. 양 김총재에 대한 지지율은 10~14%%였다.
광주·전남에서도 가능하다는 응답이 30%%로 불가능하다 32%%와 비슷했다. 그러나 야권후보가단일화됐을 경우 승리할 것이라는 응답은 53%%로 타지역보다 훨씬 높았다.
〈李相勳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