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건강상식 바로잡기

"임신중 치과치료는 금물이다."

상당수 임산부들은 임신중 치과치료가 태아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막연히 생각하고 임신기간중 구강질환 치료를 기피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임신중에는 평소보다 구강질환이 더 많이 발생하므로 이를 소홀히 다루어서는 안된다.가장 자주 나타나는 것이 '임신성 치은염'.

이는 호르몬의 영향으로 잇몸이 작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생기며 임신으로 인해 기존의 구강질환이 변형 또는 악화되는 경우도 많다.

보통 임신 2개월경에 나타나 임신 8개월까지 지속되다 그 이후 급속히 정상을 되찾는다.충치도 많이 발생한다. 이역시 임신자체가 충치를 유발시킨다기보다 임신성치은염으로 인해 구강상태가 불량하기때문에 충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임신중 치과치료로 인한 임산부의 스트레스나 치아의 통증, 치성감염으로 인한 부작용은 태아에손상을 입힐 수 있다.

그러나 치과질환을 방치하면 임신부는 출산후 평생을 간직해야 할 자신의 치아에 문제가 생겨 두고두고 고생을 할 수도 있다는 점을 생각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임신부는 담당의사에게 임신사실을 알리고 충분히 상담을 한 후 안전하게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그리고 임신중기 3개월은 임신기간중 치과치료에 따른 위험도가 비교적 낮아지는 시기로 볼 수 있으므로 시기를 신중히 선택해 치료를 받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철저한 구강내 소독과 예방점검, 스켈링과 같은 간단한 치료를 받아 태아에 영향을 줄만큼 심각한 치과치료를 사전에 피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옥윤경(대구시치과의사회 건강캠페인 위원 )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