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金泳三)대통령과 김수환(金壽煥)추기경의 17일 회동은 20여일 끌어온 파업정국의 일대 전환점이 될것으로 보인다. 정국은 이를 계기로 대화 해결의 큰 가닥을 잡았다고 볼 수 있다.누가 뭐래도 현 시국 수습의 실마리를 쥐고 현 상황을 타협 국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사람은김대통령뿐이라 믿어진다.
그런만큼 지금까지 대통령의 강경일변도의 상황대처는 사태를 더욱 혼미스럽게 한다는 우려마저낳았던 것인데 이제 대통령이 직접 나서 대화의 물꼬를 튼것은 시의적절한 처사다.여·야 정치권과 노동계 지도자는 이번 회동을 기점으로 더욱 활발하게 접촉하고 대화해서 민심을 안정시켜주기 바란다.
연말부터 계속된 파업으로 경제손실도 손실이려니와 사회불안과 민심의 동요 또한 심각하다.온 나라가 일손을 놓다시피 하고 사태의 귀추에 귀 기울이고 있는게 현실이다.이 시점에 여·야가 따로 없고 노사(勞使)가 따로 있을 수 없다.
더이상 밀고 당기거나 당리당략으로 나라 전체가 흔들리는 파국이 계속되게 해서는 안된다.그래서 우리는 여당이 제의한바 3당3역 회담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고 아니면 총무회담부터라도열기를 권하는 바다.
그러나 무엇보다 우리는 대통령이 각계의 폭넓은 여론수렴으로 화해 물꼬를 넓게 틔우는 구국의결단을 내려주기를 또한 바란다.
대통령은 이제 여당이나 정부의 체면만을 따지는 차원이 아니라 국가의 장래를 생각하고 민심의향방(向方)을 수렴하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결단이 요구되는 시점에 서 있음을 인식하기를 기대한다. 이제 대화합을 위해 필요하다면 영수회담이든 무엇이든 할 수있는 열린 마음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야당 또한 파업지지니 장외투쟁이니 하는 다분히 당리적인 차원을 떠나 국회에 들어가서 따질 것은 따지고 양해할 것은 수용하는 금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제 민심을 바탕으로한 대화와 타협의 수습 국면이 대세가 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느닷없는 신한국당 대표의 TV토론 제의와 특정인 거부는 사태 수습과는 헷갈리는또하나의 사건으로 유감이다. 기껏 노동계 대표와의 토론을 제의해놓고 특정인은 안된다고 거부한다는 것은 그 진의가 어디있든 말이 안된다.
토론회를 가질 의사가 전혀 없으면서 정치 공세용으로 '한번 해본'제의인지 아니면 그 사이에 당론이 바뀐 것인지간에 여당 대표로서 바람직한 태도는 아니라고 본다.
이러한 불성실하고 한치 앞을 못보는 단견이 파국의 골을 더욱 깊게 하는 것이다. 대화의 폭을넓히기위한 여권의 자세전환이 필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