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1-國會에서 해결책 모색해야

여야 영수회담에서 대통령이 노동법과 안기부법의 재논의, 복수 노조(勞組)인정, 파업주동자에 대한 영장(令狀)집행 보류를 약속함으로써 파국을 면하고 사태를 수습할 가닥이 잡히게 됐다.물론 대통령의 이러한 시국수습 방안은 야당과 노동계가 주장하는 이른바 노동법 전면 백지화 주장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것이어서 여야 영수회담 결과는 '흔쾌한 합의'와는 동떨어진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당초 정부, 여당이 노동법에 관한 논의는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일축, 공권력 투입등 강경일변도 주장을 되풀이 할때와 비한다면 백배 양보, 대화로 사태를 수습하겠다는 의지를표출한 것으로 볼수 있는 것이다.

그런만큼 야당권이 굳이 통과된 노동법을 '백지화'하고 국회에서 '재심의'하자는 주장으로 영수회담을 계기로 모처럼 성숙되고 있는 대화분위기를 깨뜨릴 필요가 있는지 묻고 싶다.현정부로서는 차기정권이 들어설때까지 국정을 이끌어갈 책임이 있는 만큼 야당과 노동계에 완패(完敗)한다는 것은 정권 누수현상의 심화등의 파급영향으로 미루어볼때 국익 차원에서 바람직한일만은 아닌 것이다.따라서 우리는 영수회담에서 여야 지도자가 '재논의'냐 '재심의'냐를 두고 입씨름을 한 결과에 매달려 하잘데 없는 정쟁만을 일삼을 것이 아니라 대화로 어떻게든 파국을 막기 위해 여야 모두가 발벗고 나서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영수회담후 김대중총재가 "회담이 진전이 있었다"고 밝힌 것은 이미 대화를 통해 화해하자는 기본 입장에는 여야가 합의했음을 뜻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런만큼 이제 난국을 풀어가는 열쇠는 국회로 넘겨졌고 따라서 국회는 갈등의 매듭을 풀기 위한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여야의 총무회담도 좋고 당3역 회의를 열어서 문제 해결을 모색하는 것도 좋다. 국회차원에서 해결을 모색해서 안되는 것이 있으면 영수회담을 다시 여는 것도 굳이 마다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그래서 여론을 수렴, 새로운 개정안을 빠른 시일안에 내놓아야 한다.

우리는 여야가 단합된 모습으로 국정의 정상화를 위해 공조(共助), 노동조합과 민주화 관련부문인사들을 설득하는 참된 정치력을 발휘하는 것을 보고자 한다.

노동계는 노동법 백지화등 자신들의 요구가 관철안되면 2월18일까지 매주 파업과 집회를 번갈아가면서 투쟁할 것이라 한다.

그렇게 되면 학생이 가세되고 노동계의 춘투(春鬪)와 연결, 정국은 걷잡을수 없게 되리란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따라서 지금이야말로 국가와 민족을 위해 여와 야의 정치권이 한목소리로 묶여서 생존을 위해 결사항전(決死抗戰)을 외치는 근로자들을 달래고 파국의 매듭을 지어야 할 때인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