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보 부도사태-검찰수사전망

검찰이 28일 현재 한보 특혜의혹 사건과 관련, 출국금지 조치한 정태수 한보그룹 총회장을 비롯한 30여명의 면면에 드리워진 의혹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검찰은 이들을 정총회장 일가 3명을 포함, 한보 관계자 20여명과 전·현직 은행장 8명등 2개부류로 나눠 소환조사를 통해 밝혀내야 할 비리혐의에 대해 정밀 검토작업중이다.

검찰은 그러나 이날 현재까지 이들 출금대상자 가운데 정치권이나 공무원은 포함돼 있지 않다고밝혔다.

검찰은 우선 한보 관계자에 대해 대출 커미션 수수및 로비의혹, 부도사태및 자금전용등과 관련한사기및 배임, 횡령 혐의등을 가려낼 방침이며 전·현직 행장들에 대해 대출 커미션및 외압의혹을집중 추궁할 예정이다.

검찰은 이를통해 전체적인 비리 커넥션의 밑그림을 그린 후 정총회장등의 한보비리에서 대출 커미션및 외압 의혹까지 수사를 확장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한보측은 정총회장과 아들 보근씨가 한보신용금고로 부터 불법대출을 받은 혐의로 이 금고사장 이신영씨와 함께 고발대상이고 한보철강의 정일기, 홍태선 두전직 사장, 이용남 (주)한보사장 등도 부도사태등과 관련, 28일밤 소환돼 금융기관으로부터의 대출경위등을 철야조사받았다.정 전사장은 지난 22일 5억4천1백만원짜리 당좌수표를, 홍전사장은 27일 1백억원짜리 당좌수표를부도내 고발됐다.

검찰이 이날 오전 한보그룹 16개 계열사와 정총회장 자택 등 21곳에 대해 전격적으로 압수수색을실시, 압수된 계열사 경리장부와 회계자료를 검토중이어서 한보측의 구체적인 혐의가 속속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또 압수한 자료를 토대로 출국금지조치가 내려진 나머지 한보 관계자들도 줄줄이 소환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김종국 한보그룹 전재정본부장은 산업은행 총재실에서 직접 거액을 대출해가는등 한보그룹 자금 대출의 실질적인 열쇠를 쥐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어서 특히 주목받고 있다.검찰은 이와함께 한보건설 자금담당 상무로 이철수전제일은행장의 친동생인 이완수씨도 95년4월부도가 난 자산가치 4천5백억원 규모의 유원건설을 제일은행을 통해 한보에 인수토록 넘겨준 배경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은행권의 경우 검찰은 재직기간중 한보측에 무려 8천억원의 거액대출을 해준 이전제일은행장과엄청난 특혜로 여겨지는 산업은행 장기저리 시설자금을 선뜻 내준 이형구전산업은행 총재를 우선소환대상으로 분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전총재는 금융권에서 대출받는 것 자체가 일종의 특혜로 간주되는 산업은행시설자금을 당진제철소 초기 투자에 2천억원이나 지원해 준 점이 집중규명돼야 할 의혹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특히자금지원을 위해 한보측의 사업계획서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정치권이나 경제부처 고위 관계자와공모여부가 검찰 수사의 초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이전제일은행장은 재임 2년동안 8천억원을 한보에 대출하는 등 은행권의 특혜대출을 사실상 주도하게된 경위, 유원건설의 인도 경위 등을 추궁받을 것으로 보이며 이밖에 박기진 전제일은행장,이종연 전조흥은행장, 김시형 산업은행 총재, 신광식 제일은행장, 우찬목 조흥은행장, 장명선 외환은행장등도 한보 특혜 대출을 둘러싼 커미션 수수및 외압 의혹에 대해 입을 열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현직행장 4명의 경우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조사하기 위해 사전 조치를 취한 것"이라고밝히고 있으나 이들은 막바지 한보대출에 개입하고 결국 한보의 부도를 목도했다는 점에서 외압의 실체규명을 위한 필수인물들로 보고 있다.

검찰은 늦어도 금주내 한보부도에 관한 전체적인 밑그림을 그린후 곧바로 정총회장과 보근, 한근씨 (한보그룹 부회장)등 정씨 일가에 대한 소환조사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