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철 '삼미인수 책임론' 내분

삼미특수강을 인수한 포철이 삼미부도로 직원반발등 파문이 확산될 조짐이다.

삼미특수강을 인수한 것이 김현철씨와 최형우고문등 정치권의 압력에 의해 부실기업인줄알면서도억지로 인수했다는 의혹이 부도를 계기로 다시 수면위에 떠올랐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포철직원들은 "국민기업인 포철이 부도업체 떠안는 청소업체냐""포철이 정치권 입김에놀아난다면 그야말로 큰일이 벌어진다"며 반발하고 있다.

포철은 지난달 17일 삼미특수강 창원공장의 봉강 및 강관설비를 7천1백94억원에 전격 인수했다.그러나 삼미특수강 인수에 앞서 대부분의 포철임원들은 수익성이 없다는 이유로인수 반대의사를표명했음에도 불구, 전격 인수한데 대해 내부적으로 반발해왔다. 즉 인수직전 삼미그룹은 부도 소문이 나돌았고 포철이 정치권 압력으로 현시세보다 지나치게 비싸게 인수했다는 소문이 파다했다.

사실 삼미측은 포철의 철강제조기술 노하우에 비하면 무의미한 기술이전료를 무려 3천억원이나요구했으며 결국 1천억원으로 잠정 결정한 후 추후 공신력있는 기관에 맡겨 결정키로 했다.한편 포철측은 한보철강 위탁경영에 이어 삼미까지 정치권 압력으로 억지로 떠맡은 꼴로 국민들눈에 비쳐지자 적지않게 당황하고 있다.

일부 직원 사이에서는 김만제 회장의 경영방침에 대해 심하게 반발하고 있다.

포철은 삼미특수강 창원공장을 '창원특수강'이란 별도 법인으로 설립, 대표이사사장에 이구택포항제철소장이 겸임토록했다.

그러나 포철은 창원특수강에 파견할 직원들을 포철에서 퇴사시킨후 재입사토록 하는 과정에서 일부 직원들이 "우리가 왜 가야되느냐, 나중에 다시 포철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해달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이와함께 일부 현장근로자들도 삼미부도와 함께 정치권 개입설이 언론에 보도되자 "경영진은 삼미특수강 인수 배경에 대해 직원들에게 납득할만한 설명을 해야한다"는등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어쨌든 포철은 한보위탁경영에 이어 삼미특수강 인수가 부도라는 악성혹이 따라붙음으로써 국민기업 이미지에 또한번 타격을 입게 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