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상원은 24일 그동안 논란을 거듭해 온 화학무기금지협정을 공식 비준했다.
상원은 이날 일부 공화당 의원들이 반대해온 화학무기금지협정 비준안을 본회의표결에 부쳐 찬성74, 반대 26표로 통과시켰다. 미상원의 국제조약안 비준에는 재적의원 1백명중 3분의 2인 67명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미측의 협정비준은 협정 발효시한을 5일 앞두고 가까스로 이뤄졌다.
전세계적으로 화학무기의 생산 및 사용 등을 전면 금지하고 있는 화학무기금지협정은 지난 93년에 체결돼 지금까지 모두 1백64개국이 서명하고 75개국이 비준절차를 마쳤다.
이날 표결에서 민주당 의원 전원과 공화당 의원 반수 이상이 협정을 지지함으로써 미정부의 초당파적 공동 외교정책이 더욱 힘을 얻게 됐으며 협정 이행과정에서 미국의 발언권이 한층 강화되게됐다.
협정비준을 위해 노력해 온 빌 클린턴 대통령은 "미국은 우리가 입증해야 할 지도력을 다시 한번보여줬다"고 환영했으며 표결 동수에 대비, 상원 회의장에 참석했던 앨 고어 부통령은 의회의 비준조치를 "보다 안전한 세계를 향한 역사적인 새로운 발걸음"이라고 평가했다.헬름스 위원장 등은 또 북한과 리비아, 이란, 이라크 등 이른바 국제사회의 이단국들이 이 협정에가입하지 않고있는 점과 관련, "화학무기금지협정에 북한 등 국제사회의 '깡패국가'들이 가입하지않아 실효성이 의문시된다"면서 수정안을 제출했으나 부결됐다.
헬름스 위원장 등은 특히 본회의 비준에 앞서 북한, 리비아, 이란, 이라크 등이 비준절차를 완료할 때까지 미국의 비준을 유보하는 내용의 수정안을 제출했으나 찬성 19, 반대 71표로 부결됐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