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1-인재 지역할당제 필요하다

오죽했으면 지방대학총장들이 모여 '인재지역할당제 추진위'를 결성했겠는가 싶다. 모든 행정·경제·교육·문화의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집중현상이 날이 갈수록 심화되고, 급기야 지방경제의 침체현상을 비롯, 교육도 낙후를 면치 못하게 된 것이다. 이 결과 수도권의 비대현상은 '대한민국'이 아닌 '서울공화국'이란 별칭이 생기게까지 흘러온 것이다.

경북대·영남대·부산대·충남대·강원대등 전국13개 주요 지방대총장들은 지난1일 경주서 모임을 갖고 인재지역할당제 도입을 추진키로 결의하고 그 당위성을 널리 홍보키로 하는등 단계적 추진계획을 밝혔다. 이날 전국 대학 1백80개 4년제 대학 총장가운데 1백11개대학 총장들이 인재 지역할당제를 찬성한 것으로 설문조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 설문조사의 응답자체를 거부한대학총장들은 거의 수도권이라 한다.

지방대학총장들은 지금처럼 지방대학을 홀대하는 교육부의 방침하에서는 지방대학의 발전을 기할수 없으며, 지방대출신자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기위해서는 최소한 국가고시제도만이라도 고쳐서각 지역별로 선발인원을 할당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지방대학총장들은 선진 몇나라서도 이와 유사한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지방대총장들은 할당제에 찬동하는 1백11개대학총장들의 힘을 모아 이 제도의 입법화를 추진하겠다는 의욕을 보이고있다. 그러나 당장 실시할 경우 우수인력의 국가시험탈락등 부작용이 예상되므로 단계적 실시가 바람직하다고 부언하고 있다.

지방화시대를 맞아 지방대학총장들이 교육분야에서만이라도 중앙집중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노력을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할당제추진과 병행돼야 할 과제들이 적지 않다. 우선은 교육부의 예산배정상 지방대학에 대한 불이익을 배제하는 일이 급선무이지만, 지방대학 스스로의 '자구노력'이 병행돼야한다고 본다. 물론 일부지방대학들은 타대학, 또는 수도권소재 대학들과의 차별성부각을 위해 강좌개설에서부터 교수요원확보·장학금확충등 다각적인 노력을 보이고는 있으나지역민들의 이해와 동참을 이끌어 낼만한 프로그램개발은 눈에 잘 띄지않는 것이 사실이다.뿐만아니라 대학이라고해서 사회변화·변동·변이와 무관 할 수없고, 나라의 각분야 구조와 제도·관행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이다. 그래서 인재지역할당제가 넘어야 할 관문은 고교교육의 정상화·대입제도의 개혁에까지 너무 많다. 때문에 공청회등을 통해 부작용없이 추진할 수있는 방안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하겠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