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당국 비행청소년 대책 실종

학원폭력이 생명을 앗아가는 등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나 학교·교육청·경찰은 실태조차파악하지 못한채 여론에 밀린 형식적 대책만 내놓아 당국이 비행청소년 보호에 사실상 손을 놓았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또 대다수 비행청소년들은 친구들과 어울려 아파트나 일반 주택에 집단 기거를 하며 술·담배·혼숙 등을 일삼고 있으나 경찰은 범행사실이 뚜렷하지 않다며 주민신고조차 외면하는 등 단속을외면하고 있는 실정.

26일 달서구 월성아파트에서 떨어져 숨진 권모양(14·여중3년)을 폭행한 김모양(13·여중2년)은25일에도 또다른 김모양(13)을 폭행, 전치2주의 상처를 입힌 사실이 밝혀졌다. 김양은 2학년이 된후 단 한차례만 학교에 나왔으며 폭력·비행으로 학교에서도 문제아로 지목돼 왔다는 것이다.10대 비행청소년들이 함께 머물며 술·담배·혼숙을 해왔던 월성아파트도 수차례 주민신고가 있었으나 경찰은 이를 묵살해 왔다.

또 남구 양지로, 봉명파출소 일대의 유흥업소에 일하는 대다수 10대 청소년들은 가출한지 한달에서 1년이 지나, 출신학교 선후배들과 계속 연락하면서 중퇴한 여중·여고생들을 불법업소 접대부로 끌어들였다는 것.

그러나 경찰과 교육청은 남구 대명동, 봉덕동, 중구 대봉동 일대에서 가출 학생들이 집단 기거 또는 혼숙을 하고 있는데도 현장 확인을 하지 않고 업소에서 불법사실이 적발될 때만 이들을 처벌하고 있다.

한편 대구시 교육청은 28일 지역별 교감회의를 소집, 교내 폭력실태 조사에 나서 결석생, 요선도학생 등에 대한 생활실태를 집중 점검, 정밀 관찰하도록 했다.

〈金在璥·全桂完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